학술논문
MASS FLOW 모델링을 통한 댐상류지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공정개선방안
이용수 31
- 영문명
-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process of sewage treatment plants in the upstream area of dam by MASS FLOWmodelling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이현섭(Hyunseop Lee) 이지원(Jiwon Lee) 길경익(Kyungik Gil)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2권 제2호, 130~13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7년 기준 서울시 및 광역시의 하수도 보급률은 90% 이상의 높은 하수도 보급률을 보이며, 국내하수처리장의 개소 수는2010년 3,064개에서 2017년 기준 4,072개로 약 25% 증가 증가하였다. 그중에서도 SBR계열 공법으로 운영 중인 하수처리장은 현재 585개로 2010년 대비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원의 수질 개선과 소규모하수도 시설의 운영개선을 위해 안동 임하댐 권역 내 하수처리장 500m3/일 이상 3개소 및 500m3/일 미만 46개소, 총 49개소 시설을 대상으로 모델링을적용하여 공정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모델링을 위한 개선안으로 5년간 운영자료 등을 검토하여 후보군을 도출하였다. 49개소의 시설은 총 12가지 종류의 공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SBR공법의 500m3/일 이상 시설 1개소와 500m3/일 미만의 46개소를 3개 유형으로 그룹 분류를 하여 운영 개선이 가능한 9개소를 선정하였다. 500m3/일 이상 1개소에 모델링를 적용한 결과, SRT 조절을 통해 방류수 수질 개선이 가능했으며, 소규모 처리장 9개소에 적용한 결과 총 인의 제거율을 최대 14.4%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자료는 공공 하수처리시설 및 마을 하수도 시설에 대한 개선 및 운영 개선 방안으로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s of 2017, the sewerage penetration rate of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is more than 90%, and the number of domestic sewage treatment plants increased by 25% from 3,064 in 2010 to 4,072 in 2017. Among them,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ed by SBR system is 585, which is 17% higher than 2010.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source and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small sewage facilities, the improvement of the process was studied by applying the modelling to 49 facilitie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in Andong Imha dam area with more than 500m3/day 3 places and 46 places less than 500m3/day.
As an improvement plan for modelling, candidate data were derived by reviewing operation data for 5 years. 49 facilities are operated by 12 types of operating processes. Among them, 1 place mort than 500m3/day with SBR method and 9 facilities with less than 500m3/day were selected by dividing 46 sites into 3 types. As a result of applying modelling to more than 500m3/day,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charged water through SRT control and it was found that applying model to sites of small scale treatment plants can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TP by up to 14.4%. As a result, the data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mprove and improve th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RCSTP(Rural Community Sewage Tratment Plant).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ASS FLOW 모델링을 통한 댐상류지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공정개선방안
- 침투도랑 토양치환의 물순환 및 비점오염물질저감 효과 평가
- 저낙차에서 와류발생부를 구비한 마이크로 소수력에 관한 실험 연구
-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effect and phenology of Polygonatum stenophyllum grown in riverside in Paju-si
- 부산광역시 해안사구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특성
- 딥러닝을 활용한 산지습지 수위 예측 모형 개발
- 생물 및 비생물적 요인이 쥐방울덩굴의 생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 하수처리장에서의 연계처리수 요금 개선에 따른 경제성 분석
- 신두리 갯벌 퇴적 유기물의 기원과 특성
- 수변 경계종인 쥐방울덩굴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 하수처리장에서의 고농도 연계처리수에 대한 요금 개선 제안
- 한국의 묵논에서 멸종위기식물의 복원생태학적 연구 및 서식지 관리방안
- Development of a Multifunctional Design Concept to Improve Constructed Wetland Performance
- A comprehensive review of microplastics: Sources, pathways, and implications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지구통계 역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충적층 수리전도도 분포 추정 및 지하수 유동 경로 규명: 유계저수지 사례 연구
- 서울 안정사지 마애불·명문·약사불의 암석학적 특성과 손상도 평가
- Deriving Geotechnical Parameters for Foundation Design in Ea Trang, Vietnam, through Combined Seismic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