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바일 앱을 활용한 음악수업의 동향연구
이용수 1,067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end of Music Classes using Mobile App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연(Su-yeon Kim) 김민정(Mi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9권 제2호, 41~6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수업에서 활용되는 모바일 앱의 경향을 분석하여, 음악 교수자들이 음악 수업 영역별 활동에 맞는 모바일 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조건에 맞는 최종 43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43편의 논문은 학술지 7편, 학위논문 36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중학생을 학습대상으로 한 연구가 21편으로 가장 많았다. 구체적으로, 음악교육 영역별 모바일 앱의 활용은 창작 영역이 가장 많았고, 기악, 교과연계, 가창, 감상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에서 모바일 앱을 활용한 효과로는 창의력 향상, 협업 향상, 풍부한 자료제공, 흥미도 상승, 자기 주도적 학습 등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mobile apps used in music class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that music instructors can effectively utilize mobile apps tailored to activities by music education area. For this purpose, the final 43 papers were selected to meet the conditions after searching. The final 43 selected papers consisted of seven academic journals and 36 dissertations, with 21 studying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use of mobile apps by music education area accounted, instrumental music, curriculum convergence, singing and listening. Among the effects of using mobile apps in music education were improving creativity, improving collaboration, providing abundant materials, increasing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캐나다 음악교사 양성과정 연구: 온타리오, 퀘벡, 브리티시컬럼비아 주를 중심으로
- 해방공간 대구 지역에서 사용된 중등 음악교과서 『音樂敎本』(大建初級中學校)과 『中等 音樂敎科書』(大邱公立商業中學校)에 대한 비교 고찰
- 전이(Transfer)를 제고한 음악감상 수업방안 연구 - 대학교 음악 비전공 학습자를 중심으로 -
- 교구를 사용한 국악 창작수업 지도방안
- 한국음악교육학회의 역사적 발자취 조명을 위한 음악교육 원로학자 인터뷰
- 모바일 앱을 활용한 음악수업의 동향연구
- A Study of Singapore Music Teacher Training System
- Music Teacher Education Course in Finland: Focusing on Sibelius Academy
- 중국 음악대학교 실용음악학과와 한국 주요 실용음악 학과의 교과목, 교육시설, 교원 충원 비교 분석을 통한 한국 실용음악 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