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공간 대구 지역에서 사용된 중등 음악교과서 『音樂敎本』(大建初級中學校)과 『中等 音樂敎科書』(大邱公立商業中學校)에 대한 비교 고찰
이용수 103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usic Textbooks, ‘Music Textbook’(Daegun Secondary School, Daegu) and ‘Secondary School Music Textbook’(Dae-Sang(An Korean Acronym for the Daegu Public Commercial Secondary School), Daegu), Published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유로(Yooro Lee)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9권 제2호, 139~17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해방공간 비검인정 중등 음악교과서의 양상 및 특징 고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두 종의 편저자, 인쇄, 발행, 악보, 구성, 노랫말 등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편저자가 명시되지 않은 점, 인쇄용지로 마분지가 사용된 점, 악보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견되는 점, 수록 악보에 앞서 악전이 배치된 점, 수록곡 중 한국곡보다 외국곡의 비중이 큰 점, 다른 교과서의 수록곡 차용 및 짜깁기적 양상을 드러내는 점 등의 공통점이 발견되었으며, 반면 인쇄 방식(등사/옵셋), 발행처(미상(학교 추정)/출판사), 맞춤법 등에서는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두 종의 비검인정 중등 음악교과서는 편저 방식, 인쇄 발행 관련 사항, 사보 수준, 구성 등에서 유사점도 보이지만, 교과서 제작 예산, 편저자의 역량 또는 교육상 주안점 등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드러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in an un-authorized way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method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wo kinds of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especially in printing, publishing, writing the notes, compiling, and lyrics of the songs. In conclusion, these two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are similar in the style of compiling, the condition of printing and publishing, and the level of transcript, etc., but they are also different in their compilers’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 in putting their emphasis on secondary school music education, etc.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교과서 비교 검토
Ⅲ. 논 의
Ⅳ. 나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캐나다 음악교사 양성과정 연구: 온타리오, 퀘벡, 브리티시컬럼비아 주를 중심으로
- 해방공간 대구 지역에서 사용된 중등 음악교과서 『音樂敎本』(大建初級中學校)과 『中等 音樂敎科書』(大邱公立商業中學校)에 대한 비교 고찰
- 전이(Transfer)를 제고한 음악감상 수업방안 연구 - 대학교 음악 비전공 학습자를 중심으로 -
- 교구를 사용한 국악 창작수업 지도방안
- 한국음악교육학회의 역사적 발자취 조명을 위한 음악교육 원로학자 인터뷰
- 모바일 앱을 활용한 음악수업의 동향연구
- A Study of Singapore Music Teacher Training System
- Music Teacher Education Course in Finland: Focusing on Sibelius Academy
- 중국 음악대학교 실용음악학과와 한국 주요 실용음악 학과의 교과목, 교육시설, 교원 충원 비교 분석을 통한 한국 실용음악 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