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508

영문명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an Opera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laced in General Class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김주혜(Kim, Joohye) 김희규(Kim, Heegyu) 박찬영(Park, Chanyoung)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15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실효성 있는 제도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의 유초중등 특수교사 80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 운영과 관련한 세부적인 방안과 학교과정별로 의견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 지원교사는 교육청 또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배치하여 순회교육 형태로 지원하도록 하되 담당 학생 수를 1-3명으로 조정하여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수업 시수도 최소화하는 한편, 적절한 처우와 보상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통합교육 지원교사의 역할이나 역할 수행을 위한 체제와 관련한 법적인 근거 마련, 지침과 매뉴얼 개발 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 지원교사의 제도 운영 방안 및 이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for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laced in general class and to propose an operation plan of the system based on this. An online survey to examine the potential detailed pla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opinions between various school curriculums, was carried out on 809 from preschoo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out the nation. The research revealed that whil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should be placed at the Office of Education 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provide support in an itinerant education form, they should be responsible for only between 1-3 students and have their class hours minimized. Moreover, it suggested that the relevant measures for the appropriate treatment and compensation will be required. Moreover, the need to prepare a structure and the relevant legal basis and develop a guideline and manual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roles and role fulfillment was suggested for the realistic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Based on the results, an operation plan for th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and relevant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혜(Kim, Joohye),김희규(Kim, Heegyu),박찬영(Park, Chanyoung). (2020).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통합교육연구, 15 (1), 1-24

MLA

김주혜(Kim, Joohye),김희규(Kim, Heegyu),박찬영(Park, Chanyoung).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통합교육연구, 15.1(2020):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