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THE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UGANDA
이용수 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Tuliwangula Peter 최세민(Choi Se Min)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5권 제1호, 133~1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난 수십 년간, 아동 권리와 장애 아동의 권리는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간다의 초등학교 교사, 정부 및 장애 아동의 부모를 포함한 여러 정보출처에 따른 초등학교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통합 교육 환경에서 장애 아동의 통합이 통합교육의 정책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연구방법은 참여자들의 실제 경험에 대한 개인적인 통찰력을 얻기를 원했기 때문에 현상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현재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아동 부모에 대한 포커스 그룹 면담 및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관점과 경험은 정규 학교 환경에서 통합 교육을 달성하고 이행하는 과정에 대한 현실적인 통찰력을 제공했으며, 장애 아동의 부모 경험은 적절한 지원에 대한 접근 관점에서 교육 시스템의 현실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통합교육은 사회 발전 측면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모두에게 유리하지만, 교육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문제와 장애는 장애 아동을 통합시키는데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Following the past decades, children s rights and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put at the forefront of all nations across the world. In the modern world, most of the researches carried out show that emphasis on inclusive education is put mostly to acquire mo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special educational needs are being placed in mainstream education instead of special schools, as it was originally consider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pect of inclusive education from a primary school point of view (perspective) following a number of information sources, which include primary school teachers, government and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ain objective was to determine if the inclusion aspec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corresponded with the policy on inclusi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the researcher wanted to gain personal insight into the lived experiences of participants. The researcher with a sample of prim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carried out Focus 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disabilities currently attending the inclusive education schools. Teacher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provided realistic insight into the process of achieving and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in regular school settings, while experienc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fered valuable insight into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system from the point of view of accessing adequate supports for children. Findings showed that while inclusive education is beneficial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particularly in terms of social development, challenges and barriers that exist within the education system compromise oftentimes opportunity for genuine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ology
Ⅲ. Research Finding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