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464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김미정(Kim Mi-jeong) 하미경(Ha Mi-Kyung)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1권 제1호, 21~3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의 남·여 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0과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 3.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족건강성,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 세 변인 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가족건강성이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이 자기효능감이라는 변인을 매개하여서도 삶의 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효능감이 가족 건강성과 함께 대학생의 삶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예측 변인이자 보호 요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인 삶의 만족을 느끼기 위해서는 가족이 체계적이고 건강하게 기능하고 개인의 자신감과 효능감을 고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족관계, 가족기능 등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가 곤란한 상황에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상담 전략 및 접근을 통해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매개변인을 확인하였다는 점 등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
In order to figure these out, 351 students were selected from 2 universities in Busan and a survey measuring Family Strength,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as conducted. Final data from 351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5.0 and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 3.2 of Hayes(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Family Strength,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Family Strength affecting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conclusion, it is indicative that as protectiv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mily strength but also personal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are important factors which has to be dealt together with.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