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 격차: 출신 지역 및 대학 소재를 중심으로
이용수 788
- 영문명
- The effects of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on labor market outcome of University graduat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박미희(Park, Mihee)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0권 제1호, 27~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Ⅰ(KEEP)의 중학교 패널 4차년도~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획득에서 나타나는 격차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사회의 자원이 서울에 편중되어 있으며 대학의 사회적 위상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위계화 되어 있다는데 주목하여, 출신 지역과 대학의 소재지가 노동 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 지역 출신 대졸자가 서울이외 지역 출신 대졸자보다 졸업 후 취업과 정규직 일자리로 취업할 가능성이 높았다. 서울 소재 대학은 노동 시장에서 하나의 선별 준거로 작동하여, 출신 지역의 효과는 서울 대학 소재와 연계될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출신 지역과 대학 소재에 따라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노동시장의 성과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과 가정배경은 또 다른 불평등 기제로 나타나, 성별이나 가정배경에 따른 취업에서의 불평등이 우리사회에 고착화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첫 일자리의 취업 격차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고등교육은 출신 지역이라는 귀속적 배경의 영향을 완화시키기보다 대학의 소재와 연계되어 출신 지역의 효과를 더 확대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은 초기 노동시장 이행에서 나타나는 취업 격차는 이후의 사회이동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사회계층 간 불평등 문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sparities in first post-graduation job attainment. The study examines how growing up in Seoul and graduating from a university in the city affects students’ first post-graduation jobs. The effect of home region on employment outcomes showed that this variable influenced employment status and acquisition of regula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job opportunities were distributed differentially depending primarily on the graduate’s home region. Moreover, these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among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fact that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impact on success in the labor market implies that labor market performance is linked to social-structural problems in our society. Other mechanisms functioning to increase inequality were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Differences in social class, gender,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are not only structurally manifested in university graduates’ first post-graduation jobs – the individual factors work together to produce inequality in later social mo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