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사태도와 감사표현이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이용수 326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Gratitude Attitude and Gratitude Expression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변상원(Pyen, Sangwon) 이동귀(Lee, Donggwi)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27권 제1호, 175~1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사태도와 감사표현이 연인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감사태도, 감사표현, 자기자비,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연인관계 만족도를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현재 연인관계에 있다고 보고한 173명(남성 69명, 여성 104명)의 자료만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감사태도, 감사표현, 자기자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연인관계 만족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가설대로 감사태도는 자기자비 수준을 높여 연인관계 만족을 증진하였고, 감사표현은 사회적으로 지지받고 있다는 인식을 고양하여 연인관계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how gratitude attitude and gratitude expression affect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se processes. A sample of 334 undergraduate students from Seoul were recruited to complete an online survey on gratitude attitude, gratitude expression, self-compass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final sample included 173 undergraduates (69 males, 104 females) who were in romantic relationships at the time of th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gratitude attitude, gratitude expression, self-compass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dditionally, as hypothesized, gratitude attitude significantly enhance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increasing self-compassion, while gratitude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boosting one s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사태도와 감사표현이 연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 내면화된 수치심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분노반추를 통한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열등감, 지연행동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단절 및 거절 도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체적 자기손상과 공허감의 매개효과
- 중년기 삶의 의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건반 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회복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와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매개효과
- 파킨슨병 환자의 그룹가창활동 혜택 및 참여 경험
- 수형자의 범죄유형에 따른 성격특성 비교와 정신건강문제가 재범, 물질사용과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