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주관적 건강
이용수 18
- 영문명
-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elf-rated Health o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최은숙(Choi, Eunsuk) 이양선(Lee, Yangsun)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23권 제4호, 219~22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elf-rated health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A total of 195 nurses working in one general hospital were eligible for data analysis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version II (COPSOQ-K). Self-rated health was recoded as good (excellent/good) and not good (fair/poor/bad) to the question, “In general, how would you rate your health status?” Results: 40% of nurses rated their health positively. Commitment to the workplace (OR=1.27),predictability (OR=1.32), recognition and reward (OR=1.41), role clarity (OR=1.32),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OR=1.25)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of nurse participants. Work-family conflict(OR=0.82)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sychological work environment predicts self-rated health of hospital nurses. Good psychological work environment may behelpful in improvement of nurses’ health.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