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예절교육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urtes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애(Kim, Jeong-Ae) 지금수(Chi, Keum-So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권 제1호, 71~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sirable method of courtes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and test the follow;
1)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grade, sex, the educational background fo fat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 the scale of family, the presence of grandfather, the presence of grandmother, studnets age ranking among their brothers and sisters, religion, academic record)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on courtesy.
2) The influence of the courtesy education on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on courtesy.
The response were given by 485 middle school studyents and their mothers in Wanju county Chonbuk province.
Frequenc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fluence of invironment;
1) Higher grade students gained more score of courtesy test than lower grade ones.
2) Female students gained more score than male students.
3) The students who had higher academic record gained more score of courtesy test than any other students.
2.The influence of courtesy education;
Most of educated groups changed significantly due to courtesy education. It showed that courtesy education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on courtesy.
3. After courtesy education;
On the one hand, the most changed attitude was bow-courtesy area and then good-manners area, conversation-courtesy area, etc. On the other hand, the basic spirit area on courtesy changed less than any other areas.
It means that long-term courtesy education should be done in order to change students attitudes on courtesy basically, even though they could improve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externally in a chort tim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국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 분석 및 현행 중등학교 실업ㆍ가정과 교육과정의 관련성 고찰
- 兩親家庭과 缺損家廷 子女의 스트레스 認知度에 관한 比較硏究 - 富川市 女高生을 中心으로 -
- 女子中ㆍ高等學生의 服飾行動과 服裝規範에 대한 硏究 - 學校에서의 服裝規定을 中心으로 -
- 家政敎科 學習을 통한 男中生의 家庭生活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 중학생의 예절교육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기술ㆍ가정 교과 교육내용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 中學校 家政敎科書의 國際比較 硏究
-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조사연구
- 韓國飮食에 대한 女高生의 意識과 嗜好에 關한 調査硏究 - 光州ㆍ全南地域을 中心으로 -
- 高等學校 家政科 敎師와 學生의 家政科 敎科內容에 對한 認識 및 活容 - 調理實習單元을 中心으로 -
- 21세기를 향한 가정과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일 국제 공동수업에서의 문화 간 대화와 교사 성장
- 일본에서는 전쟁을 어떻게 가르치는가?: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오키나와전’을 중심으로
- 学習者参加型評価に関する一考察: 韓国の大学授業における他者評価を中心に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