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女子中ㆍ高等學生의 服飾行動과 服裝規範에 대한 硏究 - 學校에서의 服裝規定을 中心으로 -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Norm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irls - Focusing on Clothing Regulations in the School -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덕화(Yu Duck-Hwa) 박찬부(Park Chan-Bo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권 제1호, 147~1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1.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contents ;
1.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modesty, conformity, importance) and clothing regulations of school girls.
2. The di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 girls and high school girls in clothing behavior and in attitude toward clothing regulations.
3. The differences between stuendts gerself norms and subjective norms (the students thoughts which would be parents opinions and teachers opinins) in attitude toward clothing regulation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and administered to 300 middle school girls and 302 high school girls in Inchon.
The obtain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F-test,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ho the differences in responses between school levels, the high school girls showed higher interest in conformity. But there is on differances in Modesty and Importance by school levels.
2. As tho the differences in responses between school levels, there were on differences in attitued toward clothing regulations. But according by types of clothing regulations, high school girls showed higher desired in shoes and sack.
3. I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ariables on clothing behaviors and the attitudes toward clothing regulations of school girls, modesty is the most related toward clothing reguations of school girls and conformaity, importance the next.
The higher the school girls are in modesty, the more follow the clothing reguations. And the higer the school girls are in conformity and importance, the lower follow the clothing reguations.
4.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herself norms and subjective norms (the studenst thoughts which would be parents opinions and teachers opinions), students and parents showed lower scores than teachers.
That is tho say, theachers put more restrictions on students clothing than parents do.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국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 분석 및 현행 중등학교 실업ㆍ가정과 교육과정의 관련성 고찰
- 兩親家庭과 缺損家廷 子女의 스트레스 認知度에 관한 比較硏究 - 富川市 女高生을 中心으로 -
- 女子中ㆍ高等學生의 服飾行動과 服裝規範에 대한 硏究 - 學校에서의 服裝規定을 中心으로 -
- 家政敎科 學習을 통한 男中生의 家庭生活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 중학생의 예절교육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기술ㆍ가정 교과 교육내용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 中學校 家政敎科書의 國際比較 硏究
-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조사연구
- 韓國飮食에 대한 女高生의 意識과 嗜好에 關한 調査硏究 - 光州ㆍ全南地域을 中心으로 -
- 高等學校 家政科 敎師와 學生의 家政科 敎科內容에 對한 認識 및 活容 - 調理實習單元을 中心으로 -
- 21세기를 향한 가정과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음악 교과 협력교수 실행을 통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실천적 지식
- 선호도 평가 기반 행복 지수 증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도중복장애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연구재단 개인연구군 선정 과제를 중심으로(2008-2024)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