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자본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5
- 영문명
- Social capital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Study of influ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박선희(Park Sun Hee) 김인숙(Kim In Sook)
- 간행물 정보
- 『교정상담학연구』제2권 제1호, 53~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자본과 노인의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노인복지관 3개소와 경로당 2개소에서 65세 이상 노인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자본과 정신건강의 수준으로는 성별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공적 신뢰가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사회자본의 구축과 활성화에 대한 의의 및 필요성을 제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Therefore, three elderly welfare center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wo elderly people in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162 people were surveyed and data were gathered.Category of social capital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higher than that of men in the case of gender with psychological welfare feeling women Analysis of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hat public trus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lso showed that older age And suggest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for the construction and activation of social capital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ntal health of the person. Finally, the limit of the research and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after that a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