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적 은유와 상징을 통한 자기 인식과 내적 성장에 관한 실행적 연구
이용수 2,480
-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Self-awareness and Inner Growth through Visual Metaphors and Symbol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하영유(Yeongyu HA)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73호, 355~3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내에 개설된 미술 스튜디오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2년간 참여하고 있는 한 학생의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미술의 고유 원리인 ‘상징과 은유’가 미술교육의 실제에서 학생들의 주체성 회복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고찰한 실행적 연구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각적 상징과 은유를 통한 사유의 과정이 자기 인식과 내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미술교육의 실제를 위해서는 첫째, 그 원리와 실제의 연결을 위해 미적 언어의 상징과 은유의 개념 체계 파악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의 목적과 미술교육의 원리를 일관된 맥락 안에서 실현하는 장기적 구조와 학습자 개개인을 위해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적 매개 역할로서의 언어적 표현과 상호작용이 미적 표현과 더불어 미술 수업의 주요 요소로서 작동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is an action research that examines the role of symbols and metaphors , a unique principle of art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subjectivity of students in the practice of art educat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ual system of symbols and metaphors of aesthetic language provides the principle to help self-awareness and to have a new subjective perspective. Second, in order to provide the process of aesthetic thinking through symbols and metaphors in the practice of education, a long-term structure and individualized approach are needed for each learner. Third, linguistic interactions among educators, students, and art works in the structure of the class should be emphasized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art and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적 언어의 상징과 은유를 통한 자기 인식과 주체성 회복 과정
Ⅳ. 자기 인식과 내적 성장을 위한 미술교육의 고유한 역할 - 시각적 은유와 상징의 원리와 교육적 실행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영재교육의 쟁점과 개선 방안 연구
- 조선회화를 활용한 치유적 미술관 활동의 가능성 탐색: 단원미술관 檀園雅會-200년만의 외출 展에서 김홍도 작품을 중심으로
- 쿠사마 야요이의 ‘무한(無限)’ 공간 실현을 위한 조형적 특징과 의미
-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 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생애사 접근을 활용한 노인미술교육 사례연구: 노년기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 키치를 통한 미술교육의 방향 연구
-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 교과서 내용 개선 제안: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의 3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 시각적 은유와 상징을 통한 자기 인식과 내적 성장에 관한 실행적 연구
- 연기법(緣起法)에 기초한 지역 공공미술 실천방안 연구: 지역상생 기반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에서 여 교수자의 발화에 담긴 여성 편향적 지도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남녀 아동의 성차와 미술 교원의 여성 편중 현상을 중심으로
- 지역연계 미술교육의 개념화를 위한 소고
- ‘예술작품’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기초교과 개발 사례: 창의·융합 교양영역과 관련하여
-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