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학교 가정교과 교사의 직무연수 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 -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A Survey on the Actual Administrating Condition and Teacher s Recognition on the In-service Training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 Centering around Kangwon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선(Choi Mi-Seon) 윤인경(Yoon In-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3권 제2호, 85~9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7.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teachers who teach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nd to survey their viewpoints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service training. So I could find the effective ways on the in-service training by finding many kinds of needs and improvements on the basis of present problems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 most proere significant per time of the in-service training was the school vacations(49.5%). 63.4%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present 60 hours on the question of how many hours are appropriate is proper. On the question of what the most proper cycle for the educational training is, 47.2%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present 3-year cycle is appropriate. 35% of them supported the selecting system for the trainee according to the experienced or non-experienced for the up-to-date in-service training. And 35% of them answered that the speakers for the training program must be the experienced teachers in education.
In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many teacher insisted that the percentage of the text for the major should be raised(49.6%).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levels of satisfaction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65.1%. This survey indicated that teacher preferred the discussion and case study(35.9%), the practice-centered class(29.3%) and the on-the-spot study(20.9%) in order on the teaching method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56.9% of the teachers answered the number of trainee is too many and they suggested that the proper number of trainee is about 20~30.
2.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this training system was the over-population of the trainee(33.5%) and the most severe problem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the lack of air-cooled and heated system(24.8%).
목차
Ⅰ. 서 론
Ⅱ. 관련 문헌 고찰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해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타민 A와 비타민 C의 급원식품 선정
- 서울 시내 중학생의 BMI 비만도 및 관련 식생활 요인 분석
- 중학교 가정과 교사와 기술과 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양성평등교육 실천도 차이
- 한국 가정과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여고생의 가치지향성과 금전사용양식이 금전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가정교과에서 옷감실물을 학습자료로 활용한 경우의 학습효과 - 고등학교 가정 교과 「옷감」 내용을 중심으로 -
- 식생활 관련 변인들이 실과 식생활단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여고생의 의복 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가정교과 교사의 직무연수 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 -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
- 기술·가정의 교원양성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 교사는 하루아침에 생산되는 생산물이 아니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