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가정교과에서 옷감실물을 학습자료로 활용한 경우의 학습효과 - 고등학교 가정 교과 「옷감」 내용을 중심으로 -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ffects of Learning When We Use 「Swatch」as Studying Material in Economics Class of Highschool Curriculum - Centered on 「Cloth」Contents in Highschool Home Economics Class -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순희(Lee Soon-Hee) 김병미(Kim Byeong-M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3권 제2호, 15~2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actical, teaching material about 「Cloth」part of home economics course in highschool and prove it s effect on learning as the result of applying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44 first grade students of Puyo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Puyo county of Chung-nam province. They were identified to have the same quality through such inspections as intelligence quotient and previous scholastic ability test. Experiment group is composed of 72 students of two class in first grade and those students utilized swatch. Controlled group is also made up of 72 students like experiment group and they didn t use swatch.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we collected the real clothing material which was necessary in 「Cloth」part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and made teaching plan that could be used to make use of swatch. In this study, we first seek the averages and variations to know how much is the influence of using real things as the studying materials on the class. Then we verified the level of attention to compare and the level of student s schoolwork accomplishment, interest and attitude between experiment group that used the swatch and controlled group who didn t use those material.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After using swatch, students attitude toward receiving information was getting better.
2) Students interest toward 「Cloth」part was getting higher.
3) Scholastic accomplishment of experimental group became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타민 A와 비타민 C의 급원식품 선정
- 서울 시내 중학생의 BMI 비만도 및 관련 식생활 요인 분석
- 중학교 가정과 교사와 기술과 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양성평등교육 실천도 차이
- 한국 가정과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여고생의 가치지향성과 금전사용양식이 금전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가정교과에서 옷감실물을 학습자료로 활용한 경우의 학습효과 - 고등학교 가정 교과 「옷감」 내용을 중심으로 -
- 식생활 관련 변인들이 실과 식생활단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여고생의 의복 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가정교과 교사의 직무연수 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 -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
- 기술·가정의 교원양성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 교사는 하루아침에 생산되는 생산물이 아니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