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챙김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배우자애착의 매개효과
이용수 114
- 영문명
- Mindful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attachment as a mediator
- 발행기관
- 한국명상학회
- 저자명
- 김아신(Ahsh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명상학회지』제9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성인애착과 결혼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인애착이 마음챙김과 결혼만족 사이에서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성인기혼자 320명의 마음챙김, 배우자애착, 결혼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사용하였고, 분석결과를 남녀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마음챙김은 결혼만족에 정적상관을, 배우자애착의 하위요인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과는 각각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각각 결혼만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회피애착은 불안애착보다 남녀 모두에서 결혼만족도와 부적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 배우자애착의 하위요인에서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각각 마음챙김과 결혼만족도 사이를 완전매개 하였다. 또한 남녀 모두에서 배우자애착의 하위요인인 회피애착에 의한 매개효과가 불안애착에 의한 매개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와 의의,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방향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mindfulness, spousal attachment styles, and marriage satisfaction. and then whether spousal attachment styles mediate between mindful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of 320 married adult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data analysis was made for males and females separately. The analysis revealed that mindful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f both preoccupied attachment and dismissing attachment, and the each attachment sty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ttachment styles were completely mediated between mindful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attachment styles mediate the links between mindful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Dismissing attachment was more negative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both for males and females when compared with preoccupied attachment. This result supports the role of spousal attachment a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mindfulness may contribute to greater marital satisfac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외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장기미술치료를 통한 강력범죄피해 외상경험자의 회복과정
- 지적장애 여성의 모성 위기와 모성 정체성 회복 과정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