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파킨슨병에서 T & T Olfactometer를 이용한 후각기능장애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ies on The Olfactory Dysfunction by T & T Olfactometer in Paridnson’s Disease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의학연구원
- 저자명
- 안성환(Seong-Hwan Ahn) 류종현(Jong-Hyun Reu) 조경원(Kyung-Won Cho) 김후원(Hoo-Won Kim) 임건한(Gun-Han Lim) 김진호(Jin-
- 간행물 정보
-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제33권 제1호, 45~5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Several neurological conditions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deficits of olfactory system, although the exact mechanism remains unknown. The aim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lfactory fun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subtypes and severity in Parkinson s disease (PD).
Method: We measured the odor identification ability by T&T olfactometer (Takasago international Co). We compared olfactometer score between control group (25 sex and age matched healthy persons) and patient group (26 patients with P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severity (benign PD & malignant PD) and subtype (tremor-predominant PD & bradykinesia-predominant PD). We analyzed the following potential factors influencing olfaction in PD; age, genders, duration o f symptom , age o f onset.
Results: 1. O lfactory score o f patient group w 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01). 2. Olfactory score was significantly conversely related to severity (malignant)(p<0.01), subtype(bradykinesia dominant type) and H-Y staging(p<0.01),gender(p<0.09). 3.
However, olfactory score was not related to age, duration of symptom, age of onset (p>0.05).
Conclusions: Impaired olfaction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Olfactory damage in PD is severe consistently and may provide some clues in the early diagnosis.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히말라야 등반 후 중심와 출혈을 보인 고소망막병증 1예
- Effect of Pro-to-Nala Substitution on Structure and Bacterial Selectivity of a Designed Antimicrobial Peptide P18
- 파킨슨병에서 T & T Olfactometer를 이용한 후각기능장애 연구
- 경피적 시험 거치술과 추궁절개술에 의한 영구적 전극삽입에 따른 척수자극술의 효과
- 상향 안진과 측방 주시 유발 안진이 동반된 일측성 상부연수경색 1예
- 결장 직장암 환자의 수술에서 단기 예방적 항생제 요법의 효과
- 발가락의 피하조직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치험례 - 증례보고 -
- 혈청내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정량을 위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 반응분석기 성능비교
- 소아 가와사끼 환자에서 관상동맥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의 유용성
- 비공협착의 교정 3예
- 자궁속환경이 태생기 및 신생아기의 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 혈액투석 전후의 QT 간격과 전해질 변화에 대한 분석
- 인슐린 자가면역 증후군 2 예
- 아로마테라피가 남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수면장애 경감에 미치는 영향
- 노화에서의 유전자 손상,돌연변이,유전자 수복
- Rocuronium 정주 후에 발생한 과민성 반응 - 증례보고 -
- 증식 당뇨망막병증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불량시력의 예후인자
- Combined Microscopic Sequestrectomy and Intraoperative Low Dose Chemonucleolysis for Sequestrated Lumbar Disc Herniation
- Opalski 증후군 1예
- Icodextrin을 이용한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중인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과다 측정으로 진단이 늦어진 저혈당성 혼수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5호(2025년) 목차
- 주요 외국의 의약품 처방 및 조제기간 관련 제도 및 시사점
- 한국과 미국 임상시험 온라인 정보의 임상시험 대상자 중심 사용성 평가: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