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이용수 56
- 영문명
- Adjustment Effect for Coping Strategy from Fatigue Scale of Security Guard s on Emotional Labor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김의영(Kim Eui Young) 조성진(Cho Sung Jin)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60호, 283~3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큐리티요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시큐리티요원들의 근무환경과 복지수준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큐리티요원 230명을 대상자로 표집하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내면행동이 높을수록 피로도가 낮아지는 반면에 표면행동이 높을수록 피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대처가 높은 집단이 감정노동에 따라 피로도가 높아지는 반면 소극적대처가 높은 집단이 더 높은 피로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은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스트레스대처방식에 의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요원들이 적극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직차원에서 종사원들에 대한 관리시스템에 변화를 주어 조직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자율적인 기업문화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level of the security guard by identifying the primary effects of stress response on fatigue with emotional labor and identifying the adjustment effects with coping strateg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security personnel using questionnaire and the statistical tests of correlation, heavy retur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tur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emotional labor of a security guard affects fatigue Secon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fatigue of a security guard have been shown to have the effect of coping strategy.
Based on the above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emotional labor of a security guard was affected by fatigue and could be controlled by a stress coping strateg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seek an autonomous corporate culture based on the organization s performance by changing the management system for employe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o that security guards can use an active way of cop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자력발전소 특수경비원을 위한 체력검정방법 개발
- 침입절도범 재소자의 수법 특성과 타겟하드닝 관련 인식
- 공공데이터분석 기반 범죄예방환경설계 적용 : 서울시 중심으로
- 안전보안관 전문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 유도훈련이 경호전공 비만대학생들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 경호무도 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운동몰입 및 수련만족에 미치는 영향
- 안티드론 개념 정립 및 효과적인 대응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 법원보안관리대의 조직공정성이 셀프리더십을 매개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Counter-Terrorism Policy of Mongolia: Raising Awareness on Terrorism
- 국회 외곽 경호·경비시스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업무 프리랜서제도 발전방안
-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