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데이터분석 기반 범죄예방환경설계 적용 : 서울시 중심으로

이용수  159

영문명
Application of Crime Prevention Design based on Public Data Analysis: Focusing on Seoul
발행기관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저자명
김성준(Kim Sung-Jun)
간행물 정보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60호, 91~11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강력범죄의 예방은 언제나 인류의 중요 화두 중 하나이다. 최근의 대표적인 예방법은 도시에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을 적용해 설계하는 것이다. 이 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감시와 접근통제인데, 그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기계적 감시에 속하는 것이지만 새로운 흐름에 맞추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다른 관점에서의 클래식 범죄예방 정책 제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활용하는 공공데이터로 한국의 중심지인 서울시 데이터 포탈에서 제공되는 최근 년도의 자치구별 5대 범죄 발생현황통계를 중심으로 범위를 설정, 가장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범죄예방정책을 제안하도록 한다.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방법으로는 오픈소스인 Python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영문 초록

Violent crimes have increased continuously due to the development of urban society and have become a threatening factor against the residential safety of citizens. The prevention of these crimes is always a major topic in human society and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quality of life and safety of citizens. In recent year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as a preventive measure. Currently, South Korea is promoting the openness and utilization of public data, and crime prevention is one of the fields that can utilize public data actively. This approach to crime prevention utilizing public data will be helpful for the proposal of policies from new viewpoints departing from the general utilization measures of CPTED that improve streetlights and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installations, whose limitations have been pointed out as they are only mechanical surveillance. Thus, this study sets the research scope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status of five criminal offens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recent years provided by the data portal in Seoul City, the capital of South Korea, as the utilization data and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utilize classical music as a new policy for regions where the improvements are most needed. The open-source Python analysis program was employed as the main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metho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서울시 범죄 지역 공공데이터 분석
Ⅳ. 범죄예방환경설계의 연구 및 적용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준(Kim Sung-Jun). (2019).공공데이터분석 기반 범죄예방환경설계 적용 : 서울시 중심으로. 시큐리티연구, (60), 91-111

MLA

김성준(Kim Sung-Jun). "공공데이터분석 기반 범죄예방환경설계 적용 : 서울시 중심으로." 시큐리티연구, .60(2019): 91-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