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구광역시 상업지역 면적의 적정성 연구
이용수 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Optimal Area of Commercial District in Daegu‘s Urban Master Plan
- 발행기관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저자명
- 장재일(Jae-Il Jang)
- 간행물 정보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9권 9호, 995~100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상업지역의 적정면적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도시기본계획에서 적용하고 있는 상업용지 소요면적 산정방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신도시계획에서 활용하고 있는 계획기준에 의한 방법과 상권구매력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여 상업용지의 면적을 산출해 보았다. 아울러 현재의 용도지역 지정 현황을 타도시와 비교‧분석함으로써 대구광역시의 상업지역 면적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대구의 현재 상업지역 면적은 결코 부족하다고 볼 수 없었으며, 오히려 상업지역내 상업용도의 이용이 집약적이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구광역시의 도시공간구조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향후 용도지역의 정비를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효과적인 공간구조체계관리 및 지역활성화를 위해서 상업지역을 추가적으로 확대 지정하기보다 상업지역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기존 상업지역 내 저이용 토지를 적정밀도까지 개발토록 함으로써, 제한된 토지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optimal area of commercial districts in Daegu.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required area for commercial lands in “2030 Daegu s Urban Master Plan” was reviewed. Next, the area of commercial lands were calculated by the indices of new town planning and the methods of purchasing power. And by comparing the current land use designation with other cities, it was judged whether the commercial districts of Daegu city is appropriate. As a result, the area of Daegu s current commercial districts was never insuffici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and use of the commercial districts was not intensive. Using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Daegu’s urban spatial structure and suggests a future direction for the maintenance of the zoning system. Limited land resources should be used effectively by allocating commercial districts and developing low-density land in existing commercial districts rather than adding additional commercial distric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대구광역시의 상업지역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EAM 연구·선도학교의 연계·융합 교육 실태 분석
- 깊은 목굽힘 강화운동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폐기능과 호흡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진로집단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중소제조기업 CEO들의 회수물류 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책임활동과 친환경의식의 매개효과
- 양방향 피드백 구조의 JK 플립플롭을 이용한 QCA 기반의 4비트 비동기식 카운터 설계
- 개업공인중개사 관점의 부동산전자계약시스템의 개선방안과 정책적 제고방안
- 역동적 정중신경가동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손 근활성도 및 악력에 미치는 영향
- 사고발성법과 언어분석을 활용한 TV 홈쇼핑 광고의 효과측정 연구
- 농촌지역 아동의 놀이충분성과 놀이만족도가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간호사의 공감역량이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역할수행, 삶의 만족도 및 행복의 연계성
- 중학교 정보와 과학교과 융합 교육을 위한 코코넛 활용 피지컬 컴퓨팅 콘텐츠 개발
- 행복과 신뢰가 낙관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한국대학에서의 강의평가의 활용 양상: ACE 사업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 Q 방법을 활용한 항공기 소음이 주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연구
- 스포츠 전공자들의 만족도와 스포츠 가치관에 대한 연구
- 취약계층 독거노인 거주지역 분포와 근린환경 특성 연구 : 울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일부 성인의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평가 : 구강내 오염도(ATP)와 치면세균막(O’leary Index) 변화를 중심으로
- 싱잉볼 소리의 맥놀이 파동분석 연구를 통한 뇌파와 이완유도의 상관관계에 관한연구
- 신문읽기와 글쓰기 통합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학습자 중심의 교양과 인성 수업 연구
-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개선방안
- 광고 담화 속 기호계(semiotic system) 코드를 활용한 서사도식 해석과 인지 환경 기반의 의미 추적 모델의 연계성 – 학제 간 글쓰기 교육을 위해
-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대심도 지하역사의 제연 실험 - 터널 송풍기에 의한 제연의 효과 분석
- 투과 전자 현미경 원소 분석을 통하여 본 산화주석 박막과 실리콘 기판 사이의 산소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 정보활용 능력이 디지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정형 건축시설물 및 공간에 대한 사용자 행동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의 경영성과 요인 분석 연구개발투자를 중심으로
- 스피치 교육이 유머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연구
- 이공계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물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대구광역시 상업지역 면적의 적정성 연구
- 고등학생의 비만도(BMI)에 따른 식습관, 영양지식과 식이섭취 태도와의 관계 연구
-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전공 및 경력에 따른 성격 특성 비교 연구: 체화 인지적 접근
- 원형적 혁신조직의 설계와 구현: 매트릭스 구조 기반의 지식부서와 프로젝트팀 구성의 양손잡이 수업조직 사례연구
- 인공지능 기반 제품 외형의 요구사항 분석 연구: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 유아교원을 위한 융합교육 연수 제안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예술-수학 교과 중심으로
- 기혼취업여성의 출산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주택가격과 주택규제정책과의 관계 연구
- 노인의 삶의 의미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인지실패, 실수, 아차사고 및 사고의 관계 : 철도기관사와 검수직 종사자의 비교
- 이익조정이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을 위한 통합놀이치료상담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 간호사의 자녀 의료사고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중년기 기혼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가족갈등대처의 매개효과 -소득수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의 사회적자본과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인 교수활동 관리를 위한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방안
- 신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학과만족도, 실습만족도가 자존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한-인니 경제 협력에 관한 고찰: 관련 산업과 시장 확대에 관하여
-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 고위험 임부 대상 모바일 기반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 재가노인요양서비스 기관의 가치지향성이 서비스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청년층의 혼인여부에 따른 주택구입의향에 대한 연구
-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감소를 위한 플러딩 알고리즘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잉글리시 수업 연구
- TradeB: 신뢰성있는 중개인을 통한 블록체인 기반 재화 계약 서비스
- 폐경기 여성의 폐경지식, 폐경태도, 생활스트레스 및 삶의 질 관계
- 2015 개정 초등영어 교과서 문화 분석-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직관적인 확률적 사고의 발달 :위험감수 선택 상황을 중심으로
- Node.js를 이용한 다중 플랫폼 이더리움 월릿 서비스
- 유네스코 글로벌 학습도시 네트워크 참여 과정을 통한 평생교육사로서의 자기성장 학습경험
- 메이커 교육의 수업 프로그램 유형 분류
- 강점 발휘 활동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긍정심리자본 정도와 자원봉사 만족도가 자원봉사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자원봉사자 중심’
- 간호대학생의 산소관련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자가평가 역량 측정도구 개발
- 사물인터넷 환경을 위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과 스마트 낚시 루어의 구현
- 불확실성회피 성향이 감성활용 능력 및 선제적 행동에 관계
- 자폐성장애 아동 손위 형제의 갈등과 요구 분석
- Concepts and Measurements of Educational Alienation in Lifelong Education
- 2k 팩토리얼 설계를 통한 습도가 미세먼지 센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타인인식, 셀프 리더십이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투약활동에 대한 자가평가역량 측정도구 개발
- 어촌마을의 어가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른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태안군 어촌마을을 대상으로 -
- 외국인유학생의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창의융합역량 분석
- 청년창업 기업 대표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서비스스케이프와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자본의 성별 비교 분석
- 뇌교육 기반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 네일살롱 인테리어에 활용 가능한 UV Gel 소품 제작 연구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수간호사 신뢰의 조절효과
- 수술이동경로 동영상이 이비인후과 수술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특례보증의 성과 연구 : 광주⋅충남신용보증재단을 중심으로
- 긍정리더십과 조직신뢰가 몰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황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통합적 타당도 관점에서 Rasch 측정모형 적용을 통한 완벽주의 척도 타당화
- 청소년의 직업체험활동만족과 시민의식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Recategorization of the Chinese word ‘gēn’ and its Semantic Description
- 신제품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학업적응도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인 거주시설 사회재활교사의 장애인 취업 지원 경험 연구
- 고령장애인의 취업 선호 일자리 유형화 및 영향 요인 분석
-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