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336
- 영문명
-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Child’s Smart-Media Usage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Readines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상희(Lee Sanghee) 이정미(Lee Jungmi)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18권 제3호, 135~1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6차와 7차 자료를 활용하여 어머니의 양육특성(온정적 양육행동, 통제적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모-자 상호작용)과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 4세 유아는 하루 평균 1.54(sd=.90) 시간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며, 연구대상 중 54.6%는 1시간 30분 이상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였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집단에 따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모-자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세의 스마트미디어 권장 사용시간에 따라 만 5세 학습준비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 양육특성(6차)과 학교 준비도와(7차)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6차)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스마트미디어 사용량을 증/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학교 준비도에 긍정/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 긍정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가 긍정적인 양육 특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media usage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mother-child interaction) and school readiness by using the 6th & 7th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four-year old children used smart-media for average 1.54(sd=.90) hours a day, and the 54.6% of the research subjects used smart-media for 1&half hours or more. Second, mother’s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child inter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smart-media usage group of children. Third, the school readiness of the five-year old children showe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ed smart-media usage time for four-year old children. Fourth, the smart-media usage time(6t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6th) and school readiness(7th). In other words,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increase/decrease the smart-media usage amount, which could have positive/negative effects on the school readiness. Therefore, the parent education would be needed for parents to practice the positive parenting characteristics for the positive development of childhoo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소진의 관계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
- 전래놀이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디지털미디어 지도방식 및 유형에 따른 유아의 디지털미디어 이용시간 및 이야기 이해력 차이*
-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의 매개효과 검증
- 유아예술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말 리듬 놀이에서 나타난 유아의 즐거움에 관한 탐색
- 할머니를 주제로 한 국내외 창작 그림책 표지에 나타난 색채이미지 분석 연구
- 어린이집에서 만 3세 아이들의 숨는 장소의 의미
-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 활동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고민과 반성
-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및 양육태도가 만3세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 알림장 이용 현황 및 인식에 대한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의 비교 연구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훈육방식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강점 키우기를 통한 유아의 인성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교육론 과목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한 토론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