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 Analysis of Korean Research Trends in B. Reimer’s Music Education Theory
이용수 19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은아(Choi Euna)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3호, 173~1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베넷 리머의 음악교육론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음악교육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1988년부터 2018년까지 리머의 음악교육론에 대해 연구·발표된 논문 86편(학술지 논문 17편, 학위논문 6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논문유형과 발행 시기, 연구 방법,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유형별 분석 결과, 학위논문이 학술지 논문보다 4배 많았다. 둘째, 1988년에 관련 논문이 발간된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09년과 2013년 사이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개발연구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넷째, 연구주제는 리머 음악교육론의 변천에 따라 심미적 음악교육, 심미적 음악교육과 실천적 음악교육의 쟁점, 경험중심 음악교육, 교육 현장 관련 여부에 따라 이론과 실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머 음악교육론의 원리 및 변천과정의 철학적·미학적 배경과 맥락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문헌연구와 개발연구 뿐 아니라 이론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의 음악교육 상황에 대한 파악과 성찰을 바탕으로 리머의 음악교육론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적 음악교육론 정립을 위해 나아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research trends in B. Reimer’s music education theory and explore their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in Korea. To do so, 86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8 and 2018 were analyzed based on type of study, period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From this study, suggestions can be extracted as follows: More in-depth studies are necessary on the philosophical/ aesthetic background of Reimer’s music education theory, and various research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verify the theory’s effectiveness. Finall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Korean music education theor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and reflection on music education in Korea.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꿈의 오케스트라 바이올린 단원의 경험과 이에 따른 변화 탐색
- 사운드스케이프를 적용한 음악의 생활화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 창의적 활동을 활용한 단계별 시조창 지도방안
- 학습자 활동 중심 음악수업 내용 연구 – 액션런닝 수업 구성
- 다문화 음악교육의 목적론적 담론에 내재한 맥락주의-보편주의 논쟁 : ‘다음악적’ 다문화 음악교육의 전망
-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수업 프로그램 개발
- 협력학습을 통한 자기조절학습이 연주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크-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신체움직임 리듬교육관 형성 배경
- An Analysis of Korean Research Trends in B. Reimer’s Music Education Theory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