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꿈의 오케스트라 바이올린 단원의 경험과 이에 따른 변화 탐색
이용수 333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and Change of the Violin Student’s in the ‘El Sistema Korea’ Orchestra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백선영(Baek Seonyo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3호, 73~10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받은 바이올린 단원의 경험과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 관찰, 관찰 일지, 활동지, 인터뷰 등의 자료들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실제적인 방법으로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예술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고, 이는 예술적인 면을 확장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둘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단원들은 자신감 및 자존감이 향상되었고, 이러한 개인적 변화를 통해 사회성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삶에서 예술을 향유하고자 하는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요인들과는 달리, 단원들에게 학업의 기회비용은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포기하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he violin student’s in the ‘El Sistema Korea’ orchestra program. Participating observations, classroom observations, activity journal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recordings were taken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 Sistema Korea’ orchestra education has allowed students to experience a variety of activities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in a more practical way before, which has contributed to expanding there artistic experience.
Second, the ‘El Sistema Korea’ orchestra education has improved the students’ self-confidence and self-esteem, and these personal changes have produced positive improvements in their social skills.
Finally, the students’ interest to enjoy music in life, to major in music, and to enjoy art in life improved consistently through the ‘El Sistema Korea’ orchestra education.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factors, the opportunity costs to study was a decisive factor in forcing them to abandon their orchestra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경험에 대한 이해
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한 이해
Ⅲ. 연구 방법
1. 연구자 및 연구 참여자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한 학생의 경험
2.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경험한 학생의 변화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꿈의 오케스트라 바이올린 단원의 경험과 이에 따른 변화 탐색
- 사운드스케이프를 적용한 음악의 생활화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 창의적 활동을 활용한 단계별 시조창 지도방안
- 학습자 활동 중심 음악수업 내용 연구 – 액션런닝 수업 구성
- 다문화 음악교육의 목적론적 담론에 내재한 맥락주의-보편주의 논쟁 : ‘다음악적’ 다문화 음악교육의 전망
-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수업 프로그램 개발
- 협력학습을 통한 자기조절학습이 연주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크-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신체움직임 리듬교육관 형성 배경
- An Analysis of Korean Research Trends in B. Reimer’s Music Education Theory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