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장품의 활용과 개방형 수장고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연구

이용수  370

영문명
Collections Use and the Educational Roles of Open Storage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양지연(Ji-Yeon Yang)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9권 제4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뮤지엄은 소장품의 수집과 보존을 기반으로 존재하며, 역사적으로 수집과 전시에 있어 선별성과 체계적인 분류를 강화하고 계몽주의적 지식구조에 의해 선별된 소장품들 대중에게 공개하고 교육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오늘날의 뮤지엄은 수집과 보존 이상으로 소장품의 활용과 접근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선별과 해석의 권한을 보다 폭넓은 대중과 공유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197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개방형 수장고’(open storage)는 소장품을 수장고에 격납하는 형태로 고밀도 전시하고 이를 연구와 교육에 활용되도록 개방함으로써 소장품의 활용도와 뮤지엄의 개방성을 확대하는 매개체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개방형 수장고가 등장한 맥락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론적 배경으로서 소장품의 물질성과 전시 지식구조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개방형 수장고는 단순히 전시의 한 방법이 아니라 소장품의 개방과 활용을 전제로, 수집, 연구, 보존, 전시, 교육 기능을 통합하는 교육적 성격을 지니며, 뮤지엄의 기능과 과정을 대중과 소통하고, 관람자의 자기주도적인 발견과 비교, 조사연구를 촉진하는 교육적 역할을 수행한다.

영문 초록

Museums have historically existed based on the collections and strenghtened selectivity and rational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and exhibitions. Modern museums have educated and disseminated knolwedge to the public according to the Enlightenment traditions. These days, the focus of museums are moving toward use and accessibiltiy of collections from the acquisition of collections. In this respect,‘open storage,’termed to refer to publicly accessibly, nonthematic densed displays of stored collections, has been widely developed and disccused since the late 1970s. Open storage is the public medium to enhance physical and intellectual access to the collections, and integrates exhibition, research, education, and conservation functions of museum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xt and meaning of open storage. Also, the educational roles and functions of open storage were explored. Open storage is not mere a type of exhibitions. Through open storage, museums could implement integral educational roles, communicate the process and functions of museums with the public. Also, open storage encourages museum visitors to discover, compare, and investigate museums’collections on their own and facilitates self directed learning.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개방형 수장고의 등장과 의미
IV. 개방형 수장고의 교육적 역할과 기능
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지연(Ji-Yeon Yang). (2014).소장품의 활용과 개방형 수장고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9 (4), 1-23

MLA

양지연(Ji-Yeon Yang). "소장품의 활용과 개방형 수장고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9.4(2014):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