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치 성인의 시간적 처리 능력
이용수 21
- 영문명
- Temporal Processing Abilities of Adults with Tune Deafnes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저자명
- 윤건석(Keonseok Yoon) Nour Alsabbagh 장현숙(Hyunsook Jang)
- 간행물 정보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제15권 제3호, 196~20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mporal processing abilities in individuals with tune deafness. Methods: First, the scores of Distorted Tunes Test (DTT), which is a web-based tool for identifying tune-deaf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346 young adults. Second, Frequency Pattern Test (FPT), Duration Pattern Test (DPT), and Gaps-In-Noise (GIN) test were randomly conducted on the tune deafness group (TDG) and the control group (CG). TDG consisted of 13 young Korean adults who are self-reportedly amusic and performed ≤ 19 scores on DTT. CG included 15 who are not self-reportedly amusic and performed ≥ 24 scores on the same test. The scores of FPT, DPT, and GIN test were compared between TDG and CG. Results: The criterion for tune deafness in the lowest 10th percentile on DTT included the score up to 19. Mann Whitney U nonparametric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s in both labeling (p < 0.05) and humming (p < 0.01) modes of FPT in TDG, but not in DPT. GIN thresholds in the two groups significantly differed following the paired t-test, revealing upper threshold in the right ear in TDG (p < 0.05), but represented performances within normal ranges. Conclusion: Pitch processing deficits followed by poor performances on FPT by TDG suggest that DPT may be a more appropriate clinical choice when assessing temporal processing abilities in tune-deaf population. High performance variables in terms of temporal processing abilities within TDG also suggest further scrutiny of temporal processing abilities in the affected population is necessary.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성장애 관련 자기보고식 평가도구의 최신 동향
- 보청기 착용자의 음악 청능훈련 효과
- 명료어음과 일반 발성법에 의해 산출된 주파수중요함수와 전달함수 비교
- 말더듬 성인의 유창한 발화와 비유창한 발화의 말속도 및 발화 길이 특성
- 음치 성인의 시간적 처리 능력
- 청능훈련 효과에 대한 한국어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체계적인 문헌 고찰
- 국내 보청기 센터와 시장의 현황 연구
- 노인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삶의 질, 인지, 심리·정서적 요인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 성인의 발성역치 측정치의 자극어, 성별, 연령의 효과
- 이명규모지수(Tinnitus Magnitude Index)의 유용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