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 공동체 기반 하브루타 사례연구
이용수 414
- 영문명
- Havruta Based on Parent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김윤정(Kim Yoon-Jung) 윤혜순(Yun Hye-Sun)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6권 제2호, 127~1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부모 공동체를 통한 자녀와의 하브루타 토론을 통해 학부모 스스로가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에서 어떤 변화가 있고 그 효과가 무엇이라고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부모는 스스로 첫째, 질문 전략이 강화되었다. 질문이 명확해져서 보다 적절한 질문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메타인지 능력이 향상되었다. 자신에 대한 정보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가 보다 명확해졌다. 셋째, 자기 확장 능력이 증대되었다.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인지, 정서면에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자신에게 너무 몰입하게 되어 자녀보다는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다. 자녀와 관계에서는 첫째,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이 증대하였다. 자녀 마음을 보다 잘 알게 되었고, 이를 통해 더욱 명확한 소통이 가능하졌다. 둘째, 자녀에게 모델링의 대상이 되었다. 학부모가 자녀의 좋은 표본이 되어 질문, 독서 방식 등을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효율성보다 효과성을 강조하다보니 시간을 많이 할애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부모 공동체로 설계된 하브루타 토론의 장점, 단점, 보완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Havruta discussions of a parent community with their children changed the par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what kinds of effects the parents recogn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intensified their own strategies of questions; they could clarify their questions and were capable of asking more appropriate questions. Second, the metacognitive ability of the parents has improved; the parents came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and were able to clarify what they knew and did not know. Third, the self-expansion of the parents increased;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grew as they seemed to compensate for their defects. Fourth, the parents tended to put themselves before their children as they were too immersed in themselves. As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first, the parents improved in their abilities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what their children thought and then to communicate with them more clearly. Second, the parents became role models for their children; they, as good examples, were able to convey their questions and reading skills to their children. Third, because Havruta discussions focused on rather effectiveness than efficiency, this method required a great deal of time, producing difficult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in this study suggested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needs to complement the Havruta discussions designed on the basis of parent comm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