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망수용 개념에 대한 개관 연구
이용수 943
- 영문명
- An Overview Towards the Concepts of Perspective-taking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윤동군(Dong kun Yoon)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상담과 연구 제1권 제1호, 59~7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망수용은 어떤 상황에서 타인을 바라볼 때 자기중심으로 보는 것이 아닌 타인의 관점으로 입장을 이해하는 개념이다. 오래전부터 조망수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기존 연구들이 조망수용의 정의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유사개념들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망수용의 구체적 개념이해를 위해 국내 논문과 출판도서를 전반적으로 리뷰하고 조망수용과 유사한 개념들과 구분되어야 할 개념들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망수용과 유사한 개념으로 공감, 마음이론이 사용되고 있었다. 특히 연구에 따라 조망수용이 유사개념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거나 아동에게 일어나는 하나의 발달과정으로 보고 있는 등 연구자들마다 다르게 사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조망수용과 공감이 가장 혼용되어 사용하고 있어 이를 깊이 살펴보고 정의를 내렸다. 마지막에는 상담 장면에서의 조망수용 개념 정의와 이에 대한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Perspective-taking is a way of understanding others in a certain situation with their point of view, not from the perspective of oneself. Although the related studies about perspective-taking have been conducted for long, still its definition is not clear and often misunderstood with similar concepts. Method: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it, we reviewed most domestic research papers and publications to clarify its definition. We also sorted similar concepts whi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perspective-taking. Result: Empathy and the theory of mind are similar concepts to the perspective-taking. We should clarify its definition because some researchers take it as a process of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others believe those are all the same concept. Conclusion: We outline perspective-taking first and why it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with other similar concepts. At the end of this research paper, we defined the meaning of perspective-taking again and its limitation also. What should be discussed more about perspective-taking in the future is also mention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애착이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관 연구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부모화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2003-2017)
- 이성교제 상황에서 집착행동에 대한 개관 연구
- 온라인 게임 중독에 대한 개관연구 :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 진로적응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2006∼2017)
- 국내 가출청소년 연구동향과 개입방안 : 2010년부터 2017년을 중심으로
- 조망수용 개념에 대한 개관 연구
-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에 대한 문헌 분석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국내 연구동향 : 2008년부터 2017년을 중심으로
- 연인관계에서의 데이트폭력에 대한 연구 개관
-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상담 연구 동향
- 아버지 양육에 따른 자녀의 영향 : 2000-2016년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