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대 간 및 세대 내 직업이동 분석: 외환위기 당시 남성 대졸자 중심으로
이용수 142
- 영문명
- Inter/Intra Generational Occupational Mobility Analysis: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in Economic Crisi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정성지(Seongji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19년 하계학술대회,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29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에 따라서 직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직업이동 또한 다양한 양상을 겪어왔다. 특히 90년대 말 외환위기를 지나면서 청년층은 경기침체, 고학력화 등의 현상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향후 직업을 전개해가는 과정에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외환위기 당시 남성 (전문)대졸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20년 동안의 직업 이동 양상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을 유사한 특성에 따라 특정 유형으로 구분하였을 때, 이들의 직업 이동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세대 내 및 세대 간 특성은 무엇인지 구명하고자 하였다. 다채널배열분석과 최적일치법을 활용한 결과, 직업이동 유형을 다음과 같이 ‘사무직 진입형’, ‘관리·전문직 진입형’, ‘준전문·기술직 진입형’, ‘농업·기술·단순직 진입형’, ‘직업 혼재형 ( 진입유예형 , 자영업 진입형 )’ 등 6개로 구분하였다. 각 유형은 전반적으로 비경활상태 및 교육훈련을 경험하며, 직업 경력은 첫 직업의 직종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들의 세대내 및 세대간 특성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세대 내 특성과 세대 간 특성의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various aspects of occupational mobility along with changes in the job structure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occupation mobility of male youth who graduated colleges and universities during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unfolds for 20 years, using Korean Labor& Income Panel Study.
Using sequence analysis with optimal matching, this study categorized the concept of occupation mobility into two channels: job-specific and labor status. occupation pattern types of korean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were identified as clericals type , management and professionals type , agriculture, technology, and elementary occupation type , mixed occupation type . Especially, ‘mixed occupation type’ is divided into two sub categories as Advanced type and Operation type as follows. Each type generally experienced a duration of noneconomically production or education & training, and each of their occupational pattern typ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first job of respondents. Multi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ir intra-generational and inter-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both of their effects were found wh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nserted for control variables. On this basis, conclusions and limitation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