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환경에 대한 노인의 고령친화 인식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지역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용수  138

영문명
Influence of the elderly s perception of elderly age-friendly by soc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onsciousness -
발행기관
21세기사회복지학회
저자명
김수만(Kim Soo Man) 임우석(Yim Woo Seock)
간행물 정보
『21세기사회복지연구』제16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령화로 인한 대응방안의 하나로, 사회환경에 대한 노인의 고령친화인식을 반영한 사회환경 조성과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첫째, 고령친화 사회환경인식은 지역공동체의식과 생활만족도의 평균은 중앙값보다 높게 나타나 지역공동체의식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고령친화 사회환경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지역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령친화 사회환경이 지역공동체의식과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고령친화 사회환경이 생활만족도에 직접 영향과 지역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노인의 고령친화 사회환경과 생활만족도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이에 고령친화 사회환경에 대한 정부의 정책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friendly social environment level, community awareness, and living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three poi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liv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high among elderly women, elderly people in their 60s, and those under high school graduates, among those earning more than 10.1 million won. Third,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lderly s social environment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n the living satisfaction shows that the elderly are female,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the religion,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better the health, the more satisfied the service environment, the higher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higher the living satisfac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community s satisfaction level is.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diated effect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relation to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and the living satisfaction level,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aged society has a static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living satisfaction level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sense of communi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satisfaction of living.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proved that the aged social environment has a direct impact on the living satisfaction level, and that the elderly will have an indirect impact on the aged social environment and the living satisfaction level through the medium of the local community conscious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만(Kim Soo Man),임우석(Yim Woo Seock). (2019).사회환경에 대한 노인의 고령친화 인식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지역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1세기사회복지연구, 16 (1), 1-24

MLA

김수만(Kim Soo Man),임우석(Yim Woo Seock). "사회환경에 대한 노인의 고령친화 인식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지역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1세기사회복지연구, 16.1(2019):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