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5
- 영문명
- The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 s recognitions of respect for life and life science concep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희영(Kim Hee-Young) 나정숙(Na Jung-Sook) 최현희(Choi Hyun-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1호, 101~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광역시 H유치원 만5세 50명으로 실험집단에는 생명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 과학 활동을 매주 2회, 총14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과학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생명존중인식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더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후 실험집단 유아들의 생명과학개념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향상되었다. 이는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힘과 동시에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과 생명과학개념 증진에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ies on the recognition of life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kindergartens in K – metropolitan city, H kindergarten. The subjects were 50 life science student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daily activities twice a wee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 esteem perceptions of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life scienc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children.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life science concept of experimental group children changed more posi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s because life science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children s respect for life and the concept of life science. Life science activiti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recognizing life respect of infants and promoting the concept of life science.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직무 중요도 분석
-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증강현실 인식 및 교사교육 요구도 분석
-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에 미치는 영향
- 초등 협력교사제도의 정책 형성과정 분석
- 밧줄을 활용한 집단 신체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선생님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및 운영 실태
-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수준의 매개효과
- 전통명절 주제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드러난 유아의 전통명절에 대한 경험과 그림책에 대한 반응
-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책네트워크 시기 및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