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유치원 만 5세 학급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수 163
- 영문명
- A case study on group talk activity at a five-year-old class of Jayeon Kindergarten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조아라(Cho Ah Ra) 홍용희(Hong Yong Hee)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4권 제1호, 49~7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사례연구는 자연유치원 만 5세 샘물반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과 교사가 사용하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전략을 고찰했다. 참여자는 유아 25명과 교사 1명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은 의사소통방법 알기, 개념 학습하기, 생각을 공유하는 방법 알기, 공동체 생활 이해하기, 상상 즐기고 나누기, 나의 소중함 인식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사용하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전략을 도입 단계, 전개 단계, 마무리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도입 단계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은 유아들의 자리배치 돕기, 유아들의 경험 이끌어내기, 지난 활동 회상하기로 나타났다. 전개 단계에서 교사가 사용한 전략은 맥락적 신호 보내기, 유아의 반응 활용하기,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적절한 태도 알려주기, 비계설정하기, 유아들의 참여 격려하기로 나타났다. 마무리 단계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은 다음 이야기나누기 활동 소개하기, 확장 활동 안내하기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되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특성과 효과적인 교수전략에 대한 보다 심층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cas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a group talk activity and the teaching strategies used by the teacher of a 5-year-old classroom at Jayeon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one teacher and 25 childr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tents of group talk activities, it showed knowing how to communicate with, learning a concept, knowing how to share thoughts, understanding a life of a community, enjoying and sharing imagination, and knowing preciousness of oneself. Second, the strategies used at the introduction phase included helping children with seating arrangement, deriving their experience and recalling the past group talk activity. Strategies at the development phase contained sending a contextual sign, using children’s reaction, informing them of adequate attitudes, scaffolding and prompting their participation. Strategies at the ending phase contained introducing next group talk activity and an expansion activity. More studies on the nature and the task of a group talk activity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 group talk activity.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