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취업한 결혼이주여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5
- 영문명
 - Research on the Coexistence of Work and House Labor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저자명
 - 성미선(Sung Mi-Sun)
 - 간행물 정보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다문화가족연구 제9집, 77~10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취업한 결혼이주여성의 일․가정 양립의 동기와 자녀양육 및 교육 경험, 그리고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의 역할분담 및 협력경험과 애로점의 해결 방법 등을 알아봄으로써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총 6명을 면접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들은 결혼 이후 인터넷 활용 혹은 지인의 소개로 취업을 하였으며, 취업 후에는 외국인에 대한 차별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과 가정을 양립하면서, 한국여성들과 마찬가지로, 가사분담과 자녀양육의 문제, 그리고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는 가족들과의 가치관 차이와 자녀학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경험하였다. 특히 자녀의 학업 면에서는 언어문제로 인한 학습지도의 어려움과 함께 외국인 어머니로서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상담 및 방문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arried immigrant women co-experience both housework and jobs outside the home.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were explored. Firstly, what is the motive of employed married immigrant women to experience both jobs and housework? Secondly, how does the work experience affect the rearing
of children by married immigrant women? Lastly, what is the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as related to role allocation and cooperation with family members, including her spouse? In this research, a qualitative technique was used that is based on the statements of female subjects about their experiences.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similarity between the international marriages of immigrant women s coexistence and that of Korean women. The study therefore impli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women working at am office and in the house, while having similar difficulties beyond the age and society. Such results suggest full support for both work outside the home and household labor, work connection or employment agency, parent program for child nurture and housework participation by Korean husbands, and the development and support for children’s education guidanc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