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법에 나타난 이민자의 인권보장
이용수 54
- 영문명
 - Safeguard Human Rights of Immigrants under Korean Law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저자명
 - 황미경(Hwang Mee-Kyoung)
 - 간행물 정보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다문화가족연구 제9집, 37~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 현상의 가속화에 따라 한국적인 사회통합정책과 소수자의 인권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제도적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외국인을 포함한 국민 모두에 관련된 인권보장은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인권개념으로 부터 구체적인 권리의 확대가 촉구되며, 현행법상 이민자의 인권 분석과 법해석을 통한 기본적 권리의 보장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헌법상의 기본권 및 사회통합관련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내 이민자의 인권 규정을 분석하였다. 국내법에 나타난 인권규정은 헌법하의 사회통합법령에 의거 이민자의 권리에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주
민의 인권에 관련된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민자의 인권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국민의 기본적 권리 이해, 법제화를 통한 인식개선 교육과 인권보장 활동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fundamental direction for human rights of immigrant in order to secure the basic right regarding human rights education. To cope with multicultural society, our society demands governmental policy,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and educational capacity about securing human righ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ghts and subjects are different respectively. In addition, research on human rights associated with immigrants has not been accumulated enough up until now. Therefore, now is the time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concept of rights from the aspects of the constitution that constrains legislative power by the social cohesion policy and also demand education to secure welfare rights of immigrants concretely.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human rights of immigrants, this study considers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hen suggests regulations for securing human rights in terms of the current laws.
                    목차
1. 서론
	                       
	                          2. 이민자의 정의와 인권 규정
	                       
	                          3. 사회통합법률에 나타난 이민자 인권
	                       
	                          4. 연구동향
	                       
	                          5. 이민자 인권보장의 원칙 논의
	                       
	                          6.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