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약물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의 혈압관리양상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분석
이용수 207
- 영문명
- Decision-Tree Analysis to Predict Blood Pressure Control Status Among Hypertension Patients Taki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김희선(Kim Hee Sun) 정석희(Jeong Seok Hee) 박숙경(Park Sook Kyou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1권 제1호, 85~9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levels of blood pressure and to identify good or poor blood pressure control (BPC) groups among hypertension patients. The study wa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and VII) conducted from 2013 to 2016. Methods: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of 4,151 Korean hypertension patients aged 20-79 years and who were taki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was extracted from the KNHANES VI and VII database. Descriptive statistics for complex samples and a decision-tre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4.0 program. Results: The mean age was 62.46±0.21 years. The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SBP) was 128.07±0.28mmHg, an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was 76.99±0.21mmHg. 71.9% of participants showed normal blood pressure (SBP <140mmHg and DBP <90mmHg). From the decision-tree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related to good BPC group were presented with 9 different pathways same as those from the poor BPC group. Good or poor BPC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living status, occupation, education, hypertension diagnosis period, numbers of comorbidity, perceived health status,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lcohol drinking per month, and depressive mood. Total cholesterol level (<201mg/dL or ≥201mg/dL cutoff point)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participants’ BPC group. Conclusion: This decision-tree model with the 18 different pathways can form a basis for the screening of hypertension patients with good or poor BPC in either clinical or community settings.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생활습관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진행성 심부전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급ㆍ만성 요통 환자군의 통증, 기능장애, 정서 상태 및 교육 요구
- 고관절 골절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욕창 발생 위험요인
- 백내장 수술 후 수면 변화에 관한 통합적 고찰
- 대학생의 일주기리듬 유형과 자기효능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손피부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약물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의 혈압관리양상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분석
- 응급환자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효과: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