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79
- 영문명
-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and Self-Efficacy on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of Emergency Room Nurses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김현희(Kim Hyunhee) 박형란(Park Hyung-Ra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1권 제1호, 46~5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for the infection control and self-efficacy on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of emergency room nurse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1st July to 3rd August, 2017. The participants were 200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the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self-efficacy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were 5.54, 3.65 and 4.31, respectively. The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r=.59, p<.001) and self-efficacy (r=.28, p<.001)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meaningful correlation with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β=0.55, p<.001) and self-efficacy (β=0.13, p=.033). Conclusion: The results for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and self-efficacy were highly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of emergency room nur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nurses’ use of the standard precautions,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evaluate a program that considers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self-efficacy.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생활습관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진행성 심부전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급ㆍ만성 요통 환자군의 통증, 기능장애, 정서 상태 및 교육 요구
- 고관절 골절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욕창 발생 위험요인
- 백내장 수술 후 수면 변화에 관한 통합적 고찰
- 대학생의 일주기리듬 유형과 자기효능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손피부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약물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의 혈압관리양상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분석
- 응급환자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효과: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