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적성 진단을 위한 검사도구의 구인타당도 검증

이용수  211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truct Validity of a Test Measuring Personality and Teaching Ap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조운주(Cho, Woon-Ju) 최일선(Choi, Il-Sun)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38권 제4호, 57~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인·적성 검사도구의 문항 양호도와 변별도 및 구인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세종의 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총 6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문항 평균은 낮지 않아서 난이도가 높지 않았고, 표준편차도 작은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도와 첨도는 기준을 충족시켜 정규성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요인별 상·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문항 변별도가 입증되었다. 둘째, 수렴 및 판별타당도를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2개 범주(사회 공동체 성향, 내적·인지적 성향), 9개 요인(열정·헌신, 윤리·신뢰, 책임감, 협력, 타인존중, 자기조절력, 자신감·개방성, 전문성발달·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으로 구성되었다. 수렴타당도를 위한 표준화추정계수, C.R. 값은 수용기준을 넘었고, 사회 공동체 성향, 내적·인지적 성향 영역의 개념신뢰도와 평균분산추출은 모두 수용기준 이상으로 타당하였다. 판별타당도를 위해서 상관을 구한 결과, A.V.E.이 요인별 상관의 제곱(Φ)보다 커서 판별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 교직인‧적성 검사도구의 요인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s α .85∼.95로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tem validity, the item discrimination and the construct validation of a test measuring personality and teaching ap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607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5 districts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and Sejong)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dequate. The normality of skewness and kurtosis were proved. Sinc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group was identified in item analysis, item discrimination was proved to be high enough. Second, the test was constructed into 2 domains (social community disposition and inner-cognitive disposition) and 9 factors (cooperation, respect for others, passion/dedic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self–control, self–confidence/openness, and ethics/trust) by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r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andardized estimation coefficients and C. R values for convergent validity satisfied the acceptance criteria. The conceptual reliability and mean variance extraction of ‘social community disposition’ and ‘inner-cognitive disposition’ met the acceptance criteria.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validated by A.V.E., which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square of correlation coefficient (Φ²). Finally, the reliability of th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ing aptitude tes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ronbach’s α .85∼.95.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운주(Cho, Woon-Ju),최일선(Choi, Il-Sun). (2018).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적성 진단을 위한 검사도구의 구인타당도 검증. 교육논총, 38 (4), 57-80

MLA

조운주(Cho, Woon-Ju),최일선(Choi, Il-Sun).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적성 진단을 위한 검사도구의 구인타당도 검증." 교육논총, 38.4(2018): 5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