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문 사설에 보도된 아동학대에 대한 담론 분석

이용수  113

영문명
A discourse analysis of child abuse issues on the newspaper editorials in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저자명
김경미(Kim Kyoung Mi) 신샘이(Shin Sam I)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권 제2호, 25~4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문 사설에서 나타난 아동학대 담론 형성 과정과 담론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3대 신문사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게재된 사설 총 94건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푸코의 담론 분석 이론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 사설에서 아동학대 관련 주제는‘정치, 제도’,‘부모교육’,‘ 사회관심’,‘ 사회서비스’,‘ 인식개선’,‘ 소통’순으로나타났다. 둘째, 신문사설에서아동학대관련대상은‘정치인, 사회서비스종사자’,‘ 일반인’,‘ 부모’,‘ 교사’,‘ 법원종사자’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문 사설에서 아동학대 관련 주체는‘언론계’, ‘작성자 미기재’, ‘교육계’, ‘의료계’, ‘‘논설위원’, 법조계’, ‘아동관련기관장’, ‘정계’,‘ 학부모’,‘ 종교계’순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신문사설에나타난아동학대 관련담론은‘사회의관심필요’,‘ 소통과신뢰를통한인식개선’,‘ 부모교육활성화 및 의무화’,‘ 종합적 사회 서비스 강화 및 개편’,‘ 무상보육 정책 재검토’,‘ 정부의 제도적보완과 지원 요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문 사설에 담겨 있는 아동학대 담론과 그 안에 내재된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아동학대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앞으로의 실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course process and its characteristics on child abuse issues on the newspaper editorial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performed the analysis on 94 newspaper editorials published by the three major newspapers in Korea which are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The study used Foucault’s theory of discourse analysis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abuse related topics in the newspaper editorials were involved with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nterests, parental education, social interest, social services, recognition improvement, and communication. Second, the objects of child abuse were politicians, social service workers, ordinary people, parents, teachers, and the court employees. Third, the main subjects of child abuse in the newspaper editorials were the media, unknown draftsmen, a whole educational community, editors, medical communities, legal circles, directors of child institution, a political world, parents and a religious world. Finally, child abuse-related discourses were the requirement of social concern, recognition improvement through communication and trust, activating and obliging parental education, strengthening and reorganizing comprehensive social services, reviewing free childcare policies, complementing and supporting the institutional system from the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eventing child abuse in the future and looking for new directions for practicing the related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담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미(Kim Kyoung Mi),신샘이(Shin Sam I). (2016).신문 사설에 보도된 아동학대에 대한 담론 분석.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 (2), 25-45

MLA

김경미(Kim Kyoung Mi),신샘이(Shin Sam I). "신문 사설에 보도된 아동학대에 대한 담론 분석."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2(2016): 25-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