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응급의료 센터에서의 심정지 발생 장소에 따른 심폐소생술 결과 분석

이용수  47

영문명
Analysis of the Resul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Place of Cardiac Arrest in Tertiary Emergency Department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의학연구원
저자명
김우형(Woo Hyung Kim) 조수형(Soo Hyung Cho) 김성중(Seong Jung Kim) 김선표(Sun Pyo Kim)
간행물 정보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제41권 제2호, 37~4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대학교 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2013년 4월부터 2015년 3월까지 2년 동안의 기간에 걸쳐서 시행된 총 493례의 심폐소생술을 심정지 발생 장소에 따라서 병원전, 응급실내, 병실내로 구분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미 심정지가 발생하여 응급실로 도착한 환자군의 경우에서 응급실 내에서 치료 도중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군에 비하여 심인성 심정지 및 제세동 가능한 형태의 초기심전도를 보이는 환자의 비율이 더 높았으나, 오히려 생존 퇴원률이나 좋은 CPC 점수로 회복되는 비율은 더 낮았다. 병실 내에서 치료 도중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군의 경우도 응급실내 심정지 발생 환자군에 비하여 유사한 심인성 심정지의 비율 및 근소하게 높은 비율의 제세동 가능한 초기심전도를 보이고 있었으나, 생존 퇴원률 및 좋은 CPC 점수로 회복되는 비율은 응급실내심정지 환자에 비하여 낮았다. 좋은 신경학적 예후를 기대해 볼 수 있는 5분 이내의 자발 순환의 회복의 비율도 응급실내 심정지 환자군의 경우에서 병원전 심정지환자군이나 병실내 심정지 환자군에 비하여 더 높았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a more immediate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ccording to the occurrence place of cardiac arrest in tertiary emergency department. The subjects were 493 patients who had received CPR in Chosun university, Emergency Medical Department, between April 2013 and March 2015.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place of cardiac arrest: pre-hospital, in-emergency room, and in-ward. We conducted a clinical analysis of the results. During the period, 493 cardiac arrest patients underwent CPR, 63 patients (12.8%) were discharged alive and 41 patients (8.3%) got a good score on the cerebral performance category (CPC). Concerned occurrence place of cardiac arrest, 11.3% (16 patients) of the in-emergency room group (total 288 patients) were discharged alive. Also, 9.4% (27 patients) of the In-emergency room group got a good score on the CPC. In the other two-group cases, 7.1% (10 patients) of pre-hospital group (total 141 patients) and 6,2% (4 patients) of in-ward group (total 64 patients) got a good score on the CP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he rates of alive discharge and a good CPC score of the in-emergency room group are higher than in out-of-emergency room. This difference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patients could get the more immediate ACLS by emergency medicine doctors if cardiac arrest occurs in emergency room than other places.

목차

서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우형(Woo Hyung Kim),조수형(Soo Hyung Cho),김성중(Seong Jung Kim),김선표(Sun Pyo Kim). (2016).응급의료 센터에서의 심정지 발생 장소에 따른 심폐소생술 결과 분석.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41 (2), 37-44

MLA

김우형(Woo Hyung Kim),조수형(Soo Hyung Cho),김성중(Seong Jung Kim),김선표(Sun Pyo Kim). "응급의료 센터에서의 심정지 발생 장소에 따른 심폐소생술 결과 분석."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41.2(2016): 3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