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요의 미적 정서로서 초등어린이 정서 함양
이용수 89
- 영문명
- Emot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Children as Aesthetic Emotion in Children s Song -Focusing on Singing-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기수(Gi-Su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37호, 135~15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16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어린이들이 즐겨 부르는 동요는 그들의 바람직한 정서 함양을 위해 적극 권장할 만하다. 그것은 동요가 시와 음악이라는 예술의 결합체로서 시와 음악의 미적 정서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동요가 지닌 미적 정서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미적 표현성은 초등어린이의 바람직한 정서를 함양하기에 충분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어린이의 정서 함양을 위해 동요의 미적 정서 연습을 발산적 정서의 연습과 수렴적 정서의 연습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동요의 미적 정서 연습을 통해 초등어린이는 그들의 정서를 아름답게 가꿀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들의 일상에서 미적 대상과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심미안을 키울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hildren s song that elementary children enjoy singing is highly recommended to foster their desired emotional development. It is because the children s song has aesthetic emotions as combination of art of poetry and music. The aesthetic emotions and aesthetic expressions of children s song are enough to cultivate children s emotion. For raising the desirable emot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children, this study proposes the practices of aesthetic emotions in children s song as the practice of divergent emotion and the practice of convergent. By practicing of the aesthetic emotions in children s song, elementary children are expected not only to cultivate their emotions but also to have an eye for beauty to discover aesthetic objects and beauty in their daily lives.
목차
Ⅰ. 서론
Ⅱ. 동요의 미적 정서
Ⅲ. 동요의 미적 표현성
Ⅳ. 동요의 미적 정서 연습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교과에서 음악 비평 활동의 적용 영역 확대 가능성 탐색
- 유아음악감상교육 연구동향 분석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과 융합된 클래식 음악 공연 사례 및 관객 반응 분석
- 대학 음악전공 수업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동요의 미적 정서로서 초등어린이 정서 함양
- 《포페아의 대관식》에 나타난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요소
- 초등 3, 4학년 음악교과서의 음악 교과 역량 분석
-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음악교사 인식 및 경험 연구
- 음악적 어휘 능력 신장을 위한 감상 교육 방법 효과 분석
- 음악적 자아개념 문헌고찰을 통한 유아기 음악경험에의 함의
- 거시적 관점으로 본 영화장면과 배경음악의 구조적 연계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