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4학년 영어 읽기 교육에서 e-교과서의 활용 연구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age of e-textbook for English Reading Education in 4th Grade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수진(Su Jin Lee) 이재근(Jae Keun Lee)
- 간행물 정보
- 『초등교과교육연구』제18호, 171~1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eading abilities and the affective domain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nglish reading education by using the e-textbook. The model of reading instruction by using the e-textbook and teaching materials were systematically designed. 186 4th grade students from Jeju N elementary school were taught with the e-textbook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change in the reading abilities and the affective domain. It has been designed to improve reading skills by using multi-media materials from the e-textbook, teaching materials(vocabulary, expressions) and worksheet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experimental teaching, positive effects both on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were present. The average of mid and post-tests of 186 students` had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Teaching effectiveness improved after 8 weeks in the group. The results among reading test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ffective domains, it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est and confidence of the entire students and there were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Us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functions of the e-textbook and increase exposure to written language affect the results of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However the model of teaching reading could be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abilities of the students,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nd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redevelop the model of teaching reading by applying and investigating the real English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내용
Ⅴ.연구 결과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교과 지도 실태 분석
- 초등교사 선발 제도의 변천과 개선 방안 논의
- 미국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과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 비교 분석
-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의 관계
- 초등학교 4학년 영어 읽기 교육에서 e-교과서의 활용 연구
- 초등학생들의 장소 선호 연구 -멘탈 맵 분석과 현장 면담을 중심으로-
- STEAM 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교육과정 구성요소 분석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초등사회과 지도학습의 효과
- 중·고등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 직업심리검사 활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