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1,379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Music Programs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애(Lee,Youngae) 이경연(Lee,KyeungYe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3호, 121~1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박사논문 및 학술지 논문 46편을 대상으로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1.4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둘째,유아 발달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정서발달,사회성발달,신체발달,창의성발달,언어발달 순으로 나타났다.셋째,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악기활동,신체표현활동,음악영역 내 통합활동,음악극 활동,음악감상 활동 순으로 나타났다.넷째,조절변인은 실험처치 횟수로 9~16회,17회 이상 보다 8회 이하로 적용했을 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usic programs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provide basic resources to develop music programs and applications for young children.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46 journals including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s and KCI journals from 2001 to 2017.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effect size was 1.45,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earch about social development among music programs was the largest, and the order of effect sizes in decreasing order was emotion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creative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Third, the research about integration activities in music areas among music programs was the largest,and the order of effect sizes in decreasing order was instrumental activities,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integration in the music area, musical drama activities, and listening activities. Fourth, the effect size of music programs was heterogeneous so the moderate effect was analyzed. The moderate effect was higher when the program was applied under 8 times rather than 9~16, over 17 times. The results provided that music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 and provided the basic resources for further research about music programs.
목차
Ⅰ.서론
Ⅱ.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Ⅳ.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