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듬요소기반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59
- 영문명
- The Effect of Singing Activity Based on the Rhythm Element on a Preschool Child’s Musical Interest and Self-Regulation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영(Yoon,Ji-Yo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3호, 97~11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리듬요소기반 노래 부르기 활동을 개발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D어린이집 만 5세유아 총 92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실험집단은 리듬요소기반 노래 부르기 활동을 주 1회,총 20차시를 실시하였고,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활동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검사 도구는 김향숙(2016)의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양옥승(2006)의 ‘유아 자기조절능력’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공분산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리듬요소기반 노래 부르기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따라서 리듬요소기반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흥미와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inging activity based on the rhythm element on preschool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study had conducted an experiment from May 1st to September 30th, 2017, where ninety two 5-year-old children from D kindergarten in Kyungsang Namdo had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al group had performed a singing activity weekly based on the rhythm element for 20 weeks, while a control group had joined musical activity suggested by Nuri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preschool education. The study utilized an inspection tool on musical interest for preschool children invented by Kim(2016), and
self-regulation ability for preschool children invented by Yang (2006), and ANCOVA as an analytic tool.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influence of singing activity based on the rhythm element on musical interest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inging activities based on the rhythm element does give positive impact on musical interest and self-regulating ability for preschool children.
목차
Ⅰ.서론
Ⅱ.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Ⅳ.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