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치가 안모의 수직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effects of extractions in facial vertical changes
- 발행기관
- 대한치과교정학회
- 저자명
- 마준(Joon Ma) 윤영주(Young-Jooh Yoon) 김광원(Kwang-Won Kim)
- 간행물 정보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6호, 905~91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정치료시 발치가 안모의 수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서 비발치군과 발치군으로 구분하였고, 발치군은 비교분석을 위해 제1소구치 발치군, 제2소구치 발치군, 제2대구치 발치군으로 구분하여 교정치료 전, 후의 안모의 수직변화 여부를 평가함으로서 발치가 안모의 수직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냐원하여 교정치료를 받는 환자 중, 제2대구치까지 맹출하여 성장에 의한 변화요인이 적다고 인정되는 비발치군 남녀 50명, 발치군 남녀 88명으로 하였으며, 비발치군은 비교분석을 위해 42면의 제1소구치 발치군, 24명의 제2소구치 발치군, 22명의 제2대구치 발치군으로 구분하였다. 안모의 수직변화 여부를 규명할 수 있는 14개의 두부방사선 계측항목을 선정하여 교정치료 전, 후의 안모의 수직변화량을 측정하였고, SPSS/PC+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정치료 전, 후의 안모의 수직변화여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적 발치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군에서 교정치료 전, 후의 두부방사선 계측치 사이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1. 상, 하악 구치는 모든 군에서 교정치료에 의해 정출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교정치료의 역계 자체가 치아를 정출시키~~~~~~~~로 인해 일어나는 결과로 보인다. 3. 제 2재구치 발치군에서 안모의 수직고경은 교정치료 후에 모두 증가되었다. 이는 치아배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이 후방이동된 결과로 보인다. 4. 교정적 발치와 안모의 수직변화 사이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이는 안모의 수직변화와 교정적 발치는 아무런 관련이 없음을 나타낸다. 5. 두부방사선 계측항목 중 안모의 수직변화에 있어서 각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PP-MP, OP-MP 1 to PP, 1 to MP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ere to evaluate facial vertical changes occurring in patients treated orthodontically with first premolar, second remolar and second molar extractions ; to comoare these changes with those occurring in patients treated orthodontically without extractions ; and finally,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tractions in facial vertical changes. Cephalometric records of 50 male & female nonextraction patients and 88 male & female extraction patients were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t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The second molar fully erupted patients to have little variation according to growth were chosen as the sample for this investigation. For comparisons, the samples of 88 male & female according to growth were subdivided into 42 first premolar extraction, 24 second poemolar extraction, and 22 second molar extraction patients. Fourteen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selected to examine whether orthodontic extraction treatment led to vertical changes or not. The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phs were taken on the same radiographic unit. SPSS/PC+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mpare and to analyze the changes between before &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any cephalonemtric measurements between befor & after orthodontic treatment regardiess of orthodontic extractions for each group. 2. On average, the upper 6 to palatal plane and the lower 6 to mandibular plan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were increased in all group. This means most of orthodontic mechanics are extrusive in nature. Especially, in orthodontic extraction casds, it may caused by orthodontic mechanics for space closure and alignments. 3. On average, in the second molar extraction gruop, the facial vertical dimension was increase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t may be induced as a result of moving the molars distally to gain enough space to correct the molar relationship and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deep bite. 4.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rthodontic extractions and facial vertical changes. This means that orthodontic extractions have no influence on facial vertical changes. 5. The cephalomentric measuremen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ficial vertical changes for each group were PP-MP, Op-MP, 1 to PP and 1 to MP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두개안면골의 성장변화(24세에서 31세까지)
- 정자기장이 효소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성장기 아동의 악안면 성장과 신체발육에 관한 연구
-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발치가 안모의 수직변화에 미치는 영향
- 수종의 합성 고무탄성재의 성질에 관한 연구
-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의 치아우식예방 및 진행억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In Vitro에서 니코틴이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세포분열효과에 대한 연구
-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 치열심미지수(DAI)와 악안면 형태와의 관계
-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안면 및 혀의 크기에 대한 연구
- Correction of unilateral posterior crossbite through the use of RME and multibracket appliances
-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