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Semi-longitudinal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soft tissue of children aged from 3 to 11
- 발행기관
- 대한치과교정학회
- 저자명
- 박영철(Young-Chel Park) 최광철(Kwang-Chul Choy) 한희경(Hee-Kyung Han)
- 간행물 정보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6호, 891~90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교정의 치료 목표는 기능 교합과 안모의 심미성에 있다고 하겠으나 이중 심미적 외모에 대한 중요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조직과 연조직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전의 연구는 주로 두부방사선적 연구를 통한 골격 분석에 치중하여 왔다. 하지만 안모의 심미성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악안면 연조직은 하부경조직의 영향을 받지만 긴밀한 연관 관계를 구하기는 어렵다는 연구들이 근래에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는 성장기 한국인 3-11세 아동 중에 전신 질환이 없고 발육 상태가 양호하며 교합 상태가 정상인 남자 137명과 여자 106명을 대상으로 만 2년간 두부 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연조직의 분석을 facial form, lip position & posturem Nose, Thickness의 4 부분으로 나누어 성자과의 관계를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Ficial From Facial convexity가 남자 아동에 있어서 약간의 증가량을 보였는데 이는 A-Sn의 증가율이 남자 아동에서 큰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또한 안면 하방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방 구조보다 더 많은 성장이 일어났다. 2. Lip position and posture Nsaolabial angle은 연령에 따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 평균갑은 남자 93.11, 여자 97.56으로 서양인의 102보다는 예각을 보였으며 Esthetic line에 대한 돌출도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다.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입술의 돌출도가 더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심미적 이유로 발치를 고려할 때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상악 전치의 노출도는 남녀 공히 2-3mm의 값을 보였다. 3. Nose 비저의 절대적 길이는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데 비해 Sn-N´-Pn은 연령 증가의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코의 성장이 전하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4. Thickness A-Sn의 길이는 남녀 아동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중 남자 아동에 있어서 변화폭이 컸다. 상순 후경과 하순 후경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Pogonion의 연조직 두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영문 초록
Today´s orthodontic treatment goals lie in functional esthetics, and the importance of the latter is increasing gradually in trend. Considering such,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soft as well as hard tissues becomes inevitable. Early studies emphasize mainly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data. However, more recent studies report that maxillofacial soft tissue, which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facial eathetics, is influenced by underlying hard tissue, and yet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not noticed. Cephalometric x-rays were taken of 137 Korean boys and 106 girls with no systemic disease, fair developmental status and normal occlusion for two consecutive years; afterwards, soft tissue analysiss, which was divided into four parts, facial form, lip position & posture, nose, and thickness, was done to correlate tham with general growth.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두개안면골의 성장변화(24세에서 31세까지)
- 정자기장이 효소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성장기 아동의 악안면 성장과 신체발육에 관한 연구
-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발치가 안모의 수직변화에 미치는 영향
- 수종의 합성 고무탄성재의 성질에 관한 연구
-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의 치아우식예방 및 진행억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In Vitro에서 니코틴이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세포분열효과에 대한 연구
-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 치열심미지수(DAI)와 악안면 형태와의 관계
-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안면 및 혀의 크기에 대한 연구
- Correction of unilateral posterior crossbite through the use of RME and multibracket appliances
-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