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Soft tissue profiles of young oriental adults
- 발행기관
- 대한치과교정학회
- 저자명
- 정규림(Kyu-Rhim Chung) 박영국(Young-Guk Park) Stphen Chu Fu Miin-Kui
- 간행물 정보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6호, 881~88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상 교합과 양호한 안모를 가진 169명의 남자와 174명의 여자 아시아 각국 인을 대상으로 연조직 측모의 특징을 비교 분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00명의 한국인, 100명의 중국인, 72명의 월남인 및 71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상에서 9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전산 입력한 뒤 6개의 연조직 계측 항목에 대한 측정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분산 분석에서 중국인의 총 측모(GI´-Pr´-Pg´)는 한국인이나 월남인에서 보다 적은 돌출도를 보였다(P<0.01). 중국인의 안면 (GI´-Sn´-Pg´)역시 월남인 보다 적은 돌출각을 나타내었다(P<0.01). 홀더웨이의 하순각(Pg´-LS : N-B)은 월남인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남인의 상순은 중국인에서보다 리?P츠의 심미적 기준선에 더 많이 근접하였고 한국인과 일보인에서의 상순은 기준선보다 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하순은 심미적 기준선에 근접한 반면 중국인과 월남인의 하순은 기준선보다 2mm 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월남인의 비순각은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성차는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에서 상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여자에서의 총 측모각과 비순각이 남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각국인 들의 연조직 측모에 대하여 단일 표준치에 의한 분석 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며 각 인종별 표준치 설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our groups of Oriental young adults (169 males and 174 females) with normal occlusion and well balanced faced. Lsteral cephalograms of 100 Koreans, 100 Chinese, 73 Vitnamese and 71 Japanese were digitized and six profile measures were computed. Analyses of variance showed that total facial profile(GI´-Pr´-Pg´) of Chinese was significantly less convex than the profile of Koreans or Vietnamese. Facial profile(GI´-Pr´-Pg´) of Chinese was also significantly less convex than that of Vietnamese. Holdaway´s soft tissue angle(Pg´-LS:N-B)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Vietnamese than Chinese and Koreans, who were in turn greater than Janpanese. The upper of Vietnamese is significantly closer to Ricketts´ esthetic plane, than Chinese; Koreans and Japanese are significantly further behind the plane than Chinese. The lower lip of Koreans and Janpanese was close to the esthetic lpane, while Chinese and Vietnamese were approximately wmm ahead. The nasolabial angle was significantly smaller for Chinese and Japanese than Koreans and Vietnamese. Sex differences were primarily dependent on the nose; total facial convexity and the nasolabial angle wee significantly larger in females than 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atrate that a single standard of facial profile id not sufficient or appropriate for Oriental pati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두개안면골의 성장변화(24세에서 31세까지)
- 정자기장이 효소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성장기 아동의 악안면 성장과 신체발육에 관한 연구
-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발치가 안모의 수직변화에 미치는 영향
- 수종의 합성 고무탄성재의 성질에 관한 연구
-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의 치아우식예방 및 진행억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In Vitro에서 니코틴이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세포분열효과에 대한 연구
-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 치열심미지수(DAI)와 악안면 형태와의 관계
-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안면 및 혀의 크기에 대한 연구
- Correction of unilateral posterior crossbite through the use of RME and multibracket appliances
-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