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인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1
- 영문명
- The effect of gardening activities connected with homes on young children’s character and nature-friendly attitud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지영(Lee Ji-Young) 조부경(Cho Boo-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인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에 위치한 두 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이 만 5세 유아 56명 으로 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28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07. p<,05). 이는 가 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93, p<.05). 이는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텃밭 가꾸기 활동이 가정과 연계가 되 었을 때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gardening activities connected with homes on young children’s character and nature-friendly attitude. The subjects were 58 five-years-old children from two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consisting of 28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in young children’s character(t=7.07, p<.05). This means they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haracter. Second,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in young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t=5.93, p<.05). This means they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ng children’s gardening activities can be effective when it comes from home activ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