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활성화된 사람 중성 백혈구에서 ATP와 Adenosine 처리에 따른 생화학적 반응의 변경
이용수 7
- 영문명
- Alteration of Biochemical Responses in Activated Human Neutrophils by ATP and Adenosine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박성수(Sung-Soo Park) 이정수(Chung-Soo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26권 제1호, 55~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0.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안정 상태 및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 ATP는 superoxide 라디칼 생성을 자극하였으나 adenosine은 약간 억제하였다. ATP에 대한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의 반응이 안정상태의 중성 백혈구에서보다 크게 나타났다. 칼슘이 제거된 반응액에서 superoxide 라디칼 생성에 대한 adenosine의 억제효과가 관찰되었으나 ATP는 영향을 주지않았다. Superoxide 라디칼 생성에 대한 ATP의 자극 효과는 adenosine에 의하여 용량에 따라 억제되었다. ATP와 adenosine은 NADPH oxidase 활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ATP 또는 adenosine에 의한 superoxide 라디칼 생성의 변경은 다른 triphosphate nucleotide나 nucleoside에 의한 것보다 현저하였다.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 ATP와 ADP는 칼슘이온의 흡수를 더 자극하였고 세포질 유리 칼슘농도를 증가시켰으나, adenosine은 칼슘이온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APT에 의한 세포질 유리 칼슘이온 농도의 증가는 verapamil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tetrodotoxin에 의하여 약간 억제되었다. ATP에 노출된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의 superoxide 라디칼 생성에 대한 verapamil 과 tetrodotoxin의 억제 효과는 ATP의 영향이 없는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보다 크게 나타났다. Tetraethylammonium chloride는 superoxide 생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CCCP, 2,4-dinitrophenol, diphenylhydantoin과 procaine은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 superoxide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들 가운데 CCCP만이 ATP의 자극 효과를 억제하였다. ATP는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에서의 sulfhydryl기의 손실을 더 자극하였으나 adenosin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성 백혈구의 기능적 반응은 부분적으로 purine에 의하여 조절될 것으로 시사되었다. ATP와 adenosine은 칼슘 흡수와 그리고 아마도 세포막 인산화 반응 및 용해성 sulfhydryl기의 산화에 대한 영향을 통하여 활성화된 중성 백혈구의 반응을 더 변경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In both resting and opsonized zymosan activated neutrophils, ATP stimulated superoxide generation, whereas adenosine inhibited it slightly. The superoxide generation in activated neutrophils to ATP was greater than that of resting neutrophils. In Ca++ free medium, inhibitory effect of adenosine on superoxide generation was detectable, whereas ATP did not have any effect. The stimulatory effect of ATP on superoxide generation was inhibited by adenosine in a dose dependent manner. Neither ATP nor adenosine had any effect on NADPH oxidase acitivity. Effects of ATP or adenosine on superoxide generation were more prominent than that by other triphosphate nucleotides or nucleosides. ATP and ADP further stimulated Ca++ uptake and increased cytosolic free Ca++ level in neutrophils activated by opsonized zymosan, but adenosine inhibited a Ca++ mobilization. Verapamil effectively and tetrodotoxin slightly inhibited an increase of cytosolic free Ca++ level induced by ATP. Inhibitory effect of either verapamil or tetrodotoxin on superoxide generation in the ATP plus opsonized zymosan-activated neutrophils was greater than in the cells activated by opsonized zymosan alone. Tetraethylammonium chloride had no apparent effect on superoxide generation. CCCP, 2,4-dinitrophenol, diphenylhydantoin and procaine all inhibited superoxide generation in neutrophils activated by opsonized zymosan. Among these, CCCP only inhibited a stimulatory effect of ATP. ATP further stimulated a loss of sulfhydryl groups in activated neutrophils, whereas adenosine had no effect on 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responses of neutrophils may be regulated at least partly by purines. ATP and adenosine may further after functional responses of activated neutrophils through their effect on Ca++ uptake, membrane phosphorylation and oxidation of soluble sulfhydryl group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imetidine의 Theophylline 약동학 및 대사과정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Peptide YY의 혈관 평활근 수축성에 미치는 효과
- Ischemia에 의해 유발된 흰쥐의 적출 심장 손상에 대한 Cyclobuxine D의 보호효과
- L5187Y 세포에 대한 불화피리미딘 대사억제제 독성에 관한 Benzylacyclouridine의 영향
- 산성 인지질 이중층의 열적 상전이에 미치는 칼슘과 페노치아진 유도체의 영향
- 흰쥐 태아 뇌간의 일차 세포배양에서 Serotonin의 합성 및 대사에 대한 연구
-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에 의한 사람 중성구 Cathepsin G의 활성도 억제
- 활성화된 사람 중성 백혈구에서 ATP와 Adenosine 처리에 따른 생화학적 반응의 변경
- Immunochemical Studie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Purified(Na+, K+)-ATPase and Its Subunits with a Special Reference of Their Effect on Monovalent Cation Transport in Reconstituted (Na+, K+)-ATPase Vesicles
- Hydrocortisone, DHEA, Estradiol 및 Testosterone에 의하여 나타나는 마우스-간 및 소장 Polyamine 대사의 변동에 관한 연구
- 혈관평활근에 대한 Methylene Blue의 수축작용 - 가토흉부대동맥근과 돼지장간막동맥근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미국과 유럽의 AI 기반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규제제도 고찰과 국내 허가현황 분석
- Emerging Advances in Solid Tumor Immunotherapy: A Comparative Review of CAR-T, CAR-NK, CAR-M, and TIL Therap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