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혈관평활근에 대한 Methylene Blue의 수축작용 - 가토흉부대동맥근과 돼지장간막동맥근 -

이용수  0

영문명
Contractile Response of Methylene Blue on Vascular Smooth Muscles - Rabbit Thoracic Aorta and Porcine Mesenteric Artery -
발행기관
대한약리학회
저자명
백영홍(Yung Hong Baik) 최수용(Soo Yong Choi) 김재하(Jae Ha Kim) 조남기(Nam Kee Choi)
간행물 정보
『대한약리학잡지』제26권 제1호, 13~2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0.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토흉부대동백근에서 MeB와 gentian violet는 용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켰으나 evans blue와 eosine yellowish는 전혀 수축반응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MeB는 돼지 장간막 동맥에서도 용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켰다. 양표본에서 MeB 10-4 M의 단회투여는 수축반응에 이어 이완반응이 나타나는 양상성 반응을 일으켰으나, tyramine은 지속적인 수축반응을 일으켰다. Tyramine의 수축반응은 반복적이었으나 MeB의 그것은 일차 수축반응 후 3 ~ 5시간 후까지도 반복되지 않았다. Tyramine 10-4 M의 최대 수축반응 상태에서 MeB 10-4 M의 추가투여는 현저한 추가수축반응을 일으켰으나 반대로 MeB의 최대수축반응 상태에서 tyramine의 추가투여는 그이상의 수축반응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Tyramine과 MeB 수축반응은 교감신경계 악물로 소실 또는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Tyramine 수축반응은 MeB 수축보다 guanethidine과 6-hydroxydopamine에 더 예민한 반면, Ca2+-free PSS와 reserpine에 대하여는 MeB 수축반응이 tyramine 수축보다 더 예민하였고 prazosin하에서는 두 수축반응이 비슷하게 억제되었다. MeB 수축반응은 6-hydroxydopamine으로 유의하게 억제는 되었으나 소실되지 않았고, MeB 수축반응 관찰후에는 tyramine 뿐만아니라 6-hydroxydopamine의 수축반응도 소실되었다. 이상의 성적은 가토흉부대동맥과 돼지 장간막동맥에서 MeB 수축반응은 부분적으로 세포외 calcium 의존성이고 adrenaline성 신경발단으로부터의 norepinephrine유리에 기인하며, MeB의 norepinephrine유리 및 고갈작용이 tyramine 또는 6-hydroxydopamine의 작용보다 더 강력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Methylene Blue (MeB) and gentian violet (10-6 ~ 10-4 M) produced contractions in isolated thoracic aortic preparations of rabbits in a dose-dependent fashion, while other dyes, evans blue and eosine yellowish, did not affect the basal tension in the same range of doses. Porcine mesenteric arterial rings also responded to MeB with dose-dependent contractions. Single dose of 10-4 M MeB produced a biphasic response: contraction followed by relaxation. The contraction developed slowly within 2 ~ 4 min and peaked in about 20 minutes and then slowly relaxed to the basal level. Tyramine (10-4 M) also induced contraction but it developed faster and was more persistent than that of MeB. While the tyramine-induced tension was reproducible, the MeB-induced one wat not reiterable until 3 to 5 hours after washing out the MeB. Adding 10-4 M MeB further potentiated the contraction induced by 10-4 M tyramine. However, the MeB contraction was not affected by further addition or tyramine. Both tyramine- and MeB-induced tensions were abolished or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various drugs acting on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The tyramine-induced tension was more sensitive to guanethidine and 6-hydroxydopamine than the MeB-induced tension, while the latter was more sensitive to Ca2+-free PSS and reserpine. But they have similar sensitivity to prazosin. The MeB-induced tens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ut not abolished by 6-hydroxydopamine pretreatment. However, either tyramine or 6-hydroxydopamine could not affect the basal tension of the ring that MeB once had been tes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B-induced contractions of rabbit thoracic aorta and porcine mesenteric artery result from a release of endogenous norepinephrine from adrenergic nerve endings and are dependent in part on extracellular calcium, and that the potency of MeB to release or to deplete norepinephrine is greater than that of either tyramine or 6-hydroxydopamin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영홍(Yung Hong Baik),최수용(Soo Yong Choi),김재하(Jae Ha Kim),조남기(Nam Kee Choi). (1990).혈관평활근에 대한 Methylene Blue의 수축작용 - 가토흉부대동맥근과 돼지장간막동맥근 -. 대한약리학잡지, 26 (1), 13-24

MLA

백영홍(Yung Hong Baik),최수용(Soo Yong Choi),김재하(Jae Ha Kim),조남기(Nam Kee Choi). "혈관평활근에 대한 Methylene Blue의 수축작용 - 가토흉부대동맥근과 돼지장간막동맥근 -." 대한약리학잡지, 26.1(1990): 1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