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구리 피부(皮腐)의 막전위(膜電位) 및 단락전류(短絡電流)에 미치는 Morphine의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Morphine on the Transmembrane Potential and the Short Circuit Current of Frog Skin
발행기관
대한약리학회
저자명
채수완(Soo Wan Chae) 조규박(Kvu Park Cho)
간행물 정보
『대한약리학잡지』제20권 제1호, 23~3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84.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상 또는 morphine을 처리한 개구리(Rana nigromaculate)의 피부에서 Ussing 등의 방법에 의하여 막전위와 단락전류에 미치는 morphine의 작용과 morphine 작용에 미치는 전해질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Morphine 5 × 10-3은 개구리 피부의 막전위와 단락전류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약물투여후 60분후에 최고의 효과를 나타냈다. 2) Naloxone 10-4은 morphine의 막전위 및 단란전류 억제작용을 차단치 못하였다. 3) 영양액내 Na+ 농도감소, K+ 농도증가 및 Ca2+농도증가는 morphine의 막전위 및 단란전류 억제작용을 현저히 강화하였으며, Mn2+첨가는 morphine의 막전위 억제효과만을 강화시켰다. 한편 Ca2+ 농도의 감소로써 morphine의 단락전류억제 효과는 현저히 약화되었으며 Ma2+농도 감소로써 morphine의 단락전류 억제효과로 더불어 막전위 억제효과도 감약되었다. 4) Morphine 처리 표본에서 막전위와 단락전류는 morphine 처리 초기에 일시적인 감소를 일으킨 후 증가하여 morphine 처리 4 ~ 8일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상승하였다. 또한 morphine의 막전위 및 단락전류 억제효과에 있어서도 morphine처리 1 ~ 2일에는 morphine의 억제효과가 강화되나 morphine의 처리 4 또는 8일에는 현저히 약화되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으로 morphine의 약물내성을 포함한 그 약리적작용이 생체막에서의 전해질수송 또는 전해질 투과성에 영향을 미쳐 초래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추측하였다.을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보는 경향이었다. (p<0.05)3.2%는 채소에는 cholesterol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채식이 건강에 좋다고 하였다. 또한 질병치료에 유효한 채소는 당근 등 42가지, 질병을 유발시키는 채소는 고사리 등 10종을 지적하였으며 이들은 과학적 증명이 가능하거나 민간요법으로 전해지고 있는 내용이다. 이상과 같이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의 채소 소비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가공된 채소반찬과 김치의 구입은 현재까지 일반화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김치보다 채소반찬의 구입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계층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폭 넓은 채소소비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할 경우 적정 첨가 수준으로 당화액과 추출액의 비가 3:7의 범위를 넘지 않아야 버섯의 장점을 살리면서 기존 조청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은 0.78 mole이다.한 경우도 비교적 많이 먹고 있었다(24.3%). 남 여 대학생간에도 통계적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

영문 초록

The effects of morphine on the transmembrane potential and the short circuit current in the isolated frog skin were studied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The measurem ents of the transmembrane potential and the short circuit current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Ussing and Zerahn s method. Experimental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5 × 10-3M of morphine markedly depressed the transmembrane potential and the short circuit current of the naive preparation. The peak of these inhibitory effects of morphine was observed about 1 hour after administration of the drug. 2) However 10-4M of naloxone did not affect these effects of morphine. 3) Decrease of K+, increase of K+ or Ca2+ in the perfusate, markedly potentiated the inhibitory action of morphine on both transmembrane potential and short circuit current of the frog skin, and addition of Mn2+ to the solution depressed the effect of morphine on the transmembrane potential, while the inhibitory effect of morphine on the short circuit current was diminished in the Ca2+-free ringer solution, and increase of Mg2+ concentration depressed those effect of morphine on both electrical parameters. 4) In the morphine treated preparations, transmembrane potential and short circuit current were decreased in the early phase of drug treatment (1 ~ 2 days), but gradually increased to the significantly high level from the control (48 days after treatment). In these preparations, the effects of morphine on both electrical parameters were also potentiated in the early phase, but markedly diminished in the late phase of treatment.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postulated that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morphine as well as development of the tolerance by morphine may be partially related to the changes of ion fluxes and/or permeabilities of skin by the dru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수완(Soo Wan Chae),조규박(Kvu Park Cho). (1984).개구리 피부(皮腐)의 막전위(膜電位) 및 단락전류(短絡電流)에 미치는 Morphine의 영향. 대한약리학잡지, 20 (1), 23-32

MLA

채수완(Soo Wan Chae),조규박(Kvu Park Cho). "개구리 피부(皮腐)의 막전위(膜電位) 및 단락전류(短絡電流)에 미치는 Morphine의 영향." 대한약리학잡지, 20.1(1984): 23-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