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ell-free Myeloperoxidase/H2O3/Chloride System에서 Singlet Oxygen이 관여한다는 실험적 증거
이용수 0
- 영문명
- Evidence for Singlet Oxygen Involvement in Cell-free Myeloperoxidase/H2O3/ Chloride Sytem: Exclusion of Hydroxyl Radical Involvement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정명희(Myung-Hee Chung) 김용식(Yong-Sik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20권 제1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체 백혈구에서 추출한 myeloperoxidase(MPO)에 의한 NADH산화 및 methional에서의 ethylene 생성을 관찰하여 cell-free MPO/H2O2/Cl- system에서 관여하는 oxygen metabolites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NADH는 MPO/H2O2/Cl-에 의하여 산화됨을 확인하였다. 즉 MPO, H2O2 및 Cl-가 존재하는 medium에서 NADH의 산화는 azide와 catalase에 의하여, 그리고 medium에서 Cl-를 제거하였을 때 완전히 제거되었다. 2) 이와같은 MPO/H2O2/Cl-에 의한 NADH산화는 1O2 제거물질인 1,4-diazabicyclo(2,2,2) octane(DABCO)에 의하여 완전히 억제 되었으나 OH⋅의 제거물질인 mannitol, benzoate, formate 및 methanol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3) 또한 methinal을 MPO/H2O2/Cl-으로 처리하였을 때는 ethylene이 전혀 검출되지 아니하였으나 기타 OH⋅을 생성할 것으로 알려진 산화계인 xanthine/xanthine oxidase 및 Ca++-H2O2에 의해서는 현저한 ethylene생성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Cell-free MPO/H2O2/Cl- 산화계에서는 1O2이 산화반응에 관여하는 주된 산소 대사물이며 OH⋅은 생성되지 아니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oxygen metabolites involved in cell-free MPO/H2O2/Cl- system by observing the effects of their scavengers on NADH oxid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from methional by the action of MPO prepared from human leukocytes. It was clearly demonstrated that NADH was oxidized by the cell-free MPO/H2O2/Cl- system as evidenced by complete inhibition of the oxidation of the substrate in the presence of eiher azide or catalase, or by omitting Cl-. The MPO-mediated oxidation of NADH was completely abolished by a 1O2 quencher, DABCO but not by OH⋅ scavengers, mannitol, benzoate, formate and methanol. In ethylene assay, no ethylene was detected from methional in the MPO/H2O2/Cl- system with evident production of the gas by xanthine-oxidase and Cu++-H2O2 systems which are suggested to generate OH⋅. From the results obtained, it is concluded that 1O2 is a major mediator with exclusion of OH⋅ involvement in the cell-free MPO-mediated oxid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at적출심방 운동성에 대한 Prostaglandin F2 alpha와 Ouabain작용의 비교
- A Study of Mechanism Involved in Cadmium-induced Platelet Aggregation
- 개구리 피부(皮腐)의 막전위(膜電位) 및 단락전류(短絡電流)에 미치는 Morphine의 영향
- 측좌핵(側坐核)(Nucleus Accumbens Septi) 파괴가 Methamphetamine의 작용에 미치는 영향
- Cell-free Myeloperoxidase/H2O3/Chloride System에서 Singlet Oxygen이 관여한다는 실험적 증거
- 만성(慢性) Acohol 섭취(攝取) mouse에서 alcohol 대사(代謝)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인삼(人蔘)의 영향(影響)
- Ascorbic acid가 에탄올 대사효소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콘택트렌즈 관련 미생물 각막염
- 백내장 수술 후의 건성안에 대한 2% 레바미피드 단독투여와 0.15% 히알루론산 병합투여 비교
- 한국 근시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초점 콘택트렌즈의 안축장 연장 억제 효과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